책 읽히기 1


 아이가 스스로 책을 사서 보는 나이는 몇 살쯤 될까요. 아이는 왜 스스로 책을 사서 보는 날을 맞이할까요. 아이로서는 어버이가 장만해 주는 책을 읽어도 나쁘지 않을 텐데, 어이하여 굳이 제 돈을 들여 제 책을 따로 마련해서 읽는 날을 맞이하려고 할까요.

 아이가 좋은 책을 읽으면서 크면 좋다 할 만합니다. 아이는 어버이가 장만해 준 좋은 책을 하나둘 맛나게 받아먹는 가운데 씩씩하고 튼튼한 넋을 살찌울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아이한테 좋은 책만 있고 좋은 삶은 없다면, 아이가 스스로 읽은 좋은 책을 좋은 삶으로 펼쳐낼 길이 없다면, 아이가 맞아들인 좋은 책이 바탕이 되어 스스로 좋은 책을 새롭게 알아보는 눈길과 손길을 열 수 없다면 어찌 될까 궁금합니다.

 우리 살림집에는 텔레비전이 없습니다. 텔레비전이 없어야 할 까닭이 있느냐고 묻는 분이 있는데, 저는 거꾸로 여쭙니다. 텔레비전이 있어야 할 까닭이 있느냐고.

 우리 살림집에는 빨래기계가 없습니다. 빨래기계를 안 쓰는 까닭이 있느냐고 묻는 분이 많은데, 저는 되레 여쭙니다. 빨래기계 없으면 빨래를 못할 까닭이 있느냐고.

 텔레비전을 들이든 안 들이든 전기삯에 텔레비전 수신삯이 끼어 있습니다. 한국전력에 전화삯을 들여 따로 알리지 않으면 텔레비전 수신삯은 억지로 빠져나갑니다. 텔레비전을 켜면 어떤 방송을 보려 할 때이든 꽤 길게 흐르는 광고를 함께 보아야 합니다. 광고를 안 보고 즐길 수 있는 방송은 한 가지조차 없습니다.

 지하철이나 버스가 값싸다 하지만, 지하철과 버스는 온통 광고투성이입니다. 눈높이에 따라 빼곡하게 들어찬 광고판입니다. 어지러이 붙어 눈을 지치게 하는 광고덩어리입니다. 이처럼 광고삯을 받는 지하철이요 버스라 한다면, 광고로 돈을 버는 만큼 찻삯을 더 줄이거나 아예 거저로 해야 마땅합니다.

 온누리는 돈에 따라 짜맞추어져 있습니다. 돈이 없으면 물을 마실 수 없고 뒷간을 쓸 수 없습니다. 돈이 없으면 느긋하게 다리쉼을 하자며 앉을 자리마저 없습니다. 온통 된통 돈으로 흐르는 누리인데, 이런 누리에서 책읽기란 어떤 일이 될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아이한테 좋은 책 수없이 사들여 읽힌다 한들 아이는 무엇을 받아먹으며 무슨 얼을 북돋울 수 있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착하거나 참되거나 고운 삶이 사랑받을 수 없는 나라에서, 아름답거나 빛나거나 훌륭한 책 하나가 아이한테 어떠한 마음밥이 될는지 걱정스럽습니다.

 아이는 틀림없이 제 손으로 제 마음밥 살찌울 제 책을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책만 찾을 수 있다고 모든 일이 마무리되지 않습니다. 아이는 어김없이 제 온몸으로 제 온삶을 찾아야 하니까요. 아이 온삶을 일구면서 즐기는 책이어야 합니다. 아이 온삶을 빛내면서 즐기는 일이어야 합니다. 아이 온삶을 밝히면서 즐기는 놀이여야 합니다. 아이 온삶을 돌보면서 즐기는 밥이어야 합니다.

 생각해 보면, 참으로 좋다 하는 책을 들여다볼 때에, 줄거리와 목소리는 아주 좋은데, 말투나 낱말이나 말결이나 말씨는 영 글러먹거나 아쉽게 어긋나 있기 일쑤입니다(깊으며 너른 넋을 펼치는 리영희 님 책조차 씁쓸하고 슬픈 말마디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어쩔 수 없는 노릇인데, 리영희 님이 배우며 살아오던 무렵에는 옳고 바른 말로 가르치는 틀이 없었고, 오늘날까지 이런 틀은 서지 못합니다). 말다운 말로 훌륭한 말씀을 펼치는 책이란 무척 드뭅니다. 그나마 어린이책은 어른책보다 낫지만 어린이책에 깃든 말마디는 몹시 두렵습니다. 아이가 차츰 커서 푸름이가 되고 어른이 될 무렵 스스로 쥐어들 책에 담길 말마디는 대단히 무섭습니다. 아이들은 이런저런 책에 어떤 말이 스몄는가는 제대로 느끼지 않으면서 알맹이만 받아먹을 테니까요. 때로는 알맹이는 받아먹지 못하면서 허울좋은 겉치레 말마디에 젖어들 테니까요.

 청소년범죄라는 이름이 붙지만 하나같이 어른범죄입니다. 어른이 저지르던 못된 짓을 아이들이 보고 따라합니다. 어른이 아름답게 살아갈 때에는 아이 또한 아름답게 살아갑니다. 어른이 아름다우며 훌륭한 말을 하는데 아이가 엉터리 말을 할 까닭이란 없습니다. 어른 스스로 돈바라기 삶에 매여 있는 동안 아이 또한 저절로 돈바라기 삶에 매입니다.

 《열두 살에 부자가 된 키라》를 비롯해 ‘어린이 경제동화’가 수없이 쏟아집니다. 아이한테 ‘철학동화’이니 ‘과학동화’이니 하다가 바야흐로 ‘경제동화’ 판까지 나아갑니다. 그런데, 아이한테 철학동화이든 과학동화이든 경제동화이든 읽히려는 사람은 어른이고, 이런 책을 만들어 돈을 버는 사람 또한 어른입니다.

 가야 할 바른 길이 있습니다. 가야 할 고른 길이 있습니다. 가야 할 알맞은 길이 있습니다. 어른부터 먼저 책다운 책을 골라서 잘 읽어야겠습니다. 아이 삶을 아름답게 가꾸고 아이가 커 갈 앞날이 아름답길 바란다면 어른이 꾸리는 삶부터 고치고 다듬고 매만지고 보듬어야 합니다. 어른이 하루하루 꾸리는 오늘부터 아름답게 가꾸면서 앞날을 차근차근 아름답게 가꾸려는 마음이어야 합니다. 어른부터 올곧게 살며 아름다움을 가꾸고 사랑하는 마음일 때에 비로소 아이한테 책 하나 알맞게 쥐어 줄 수 있습니다.

 좋은 책 만 권을 읽혀도 나쁘지는 않겠지요. 그렇지만 좋은 책 만 권을 아이 머리속에만 가두어 둔다면, 만 권을 가둔들 십만 권을 가둔들 백만 권을 가둔들 아이가 무럭무럭 크지 못합니다. 머리속에는 백만 권 책이 들어 있으나 손과 다리와 가슴에는 아무것이 없다면 이 아이 앞날은 어찌 될까 모르겠습니다. 아니, 참 무섭습니다. 손으로는 아무 할 줄 아는 재주가 없는데 머리에는 책이 만 권이나 담아 놓은 아이라면 매우 무섭습니다.

 머리에 책 한 권조차 들어 있지 않지만 두 손과 두 다리와 자그마한 가슴에는 싱그러우며 튼튼한 빛줄기 하나 건사하는 아이라면 참말 반갑습니다. 눈부시도록 놀라우며 고맙습니다. (2003.3.5.처음 씀/2010.10.25.달.고쳐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