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쪽지 2010.10.12.
 : 아기수레에 아이를 처음으로 태우고 달리다



- 지난주에 노란 허머 자전거를 고쳤다. 안장과 앞브레이크와 앞쇼바와 기어줄과 브레이크줄과 뒷톱니와 체인을 갈았다. 나중에 더 고칠 곳이 있으나 먼저 이곳만 고쳤다. 그러나, 말이 몇 곳을 고쳤다뿐, 따지고 보면 몸통을 빼고 모조리 고쳐야 하는 자전거인 셈이다. 높은 급수 부품을 쓰는 사람한테는 아무것 아닐 테지만, 요 몇 가지 부품을 갈아치우는 데에 십팔만 원이 들었다. 여기에 삼만 원을 얹으면 삼천리 R-7 자전거 한 대 값이 나온다.

- 지난주에 자전거를 고치면서 20인치 바퀴 한 벌을 새로 샀다. 아기수레에 달린 자전거 바퀴를 갈려고 샀다. 오늘 드디어 아기수레 바퀴를 갈려고 튜브까지 벗겨 보는데, 바퀴뼈대 안쪽에 대는 고무띠 한쪽이 끊어져 있다. 아기수레 한쪽 튜브가 자꾸 구멍이 나서 까닭을 알 길이 없었는데, 바퀴뼈대 안쪽 고무띠가 끊어진 바람에 바퀴살을 여미는 끝쪽 뾰족한 데에 튜브가 자꾸 찔리며 구멍이 났구나 싶다. 다른 바퀴도 안쪽 고무띠가 살짝 접혀 있는 바람에 튜브에 구멍이 날 뻔했다.

- 고무띠 끊어진 한쪽은 신문지를 작게 접어서 대놓는다. 땜질로 이렇게 해 놓는다. 이렇게 해 놓은 채 자전거집까지 끌고 가서 갈든지, 자전거집에서 고무띠를 사와서 갈든지 해야지.

- 오랜만에 바퀴를 갈아 본다. 손맛이 즐겁다. 옆지기를 만나고 옆지기가 아이를 배며 옆지기가 아이를 낳은 뒤로 자전거를 손질하여 신나게 타 본 적이 언제였던가. 이 아기수레를 써 본 지도 퍽 오래되었다. 옆지기가 아직 아이를 낳기 앞서 명절날 가래떡을 뽑는다 하여 수레를 달고 떡집을 오갔을 때가 이태 앞서이다.

- 아이랑 옆지기 모두 마당으로 나오라고 부른다. 바퀴를 달고 수레 안쪽을 닦는다. 수레에 바퀴를 달고 자전거 뒤쪽하고 잇는다. 수레에 담요 한 장을 깔고 아이를 앉힌다. 아이한테 작은 담요 두 장을 얹어 준다. 살짝 졸린 아이인데 꽤 좋아한다. “좋아! 좋아!” 하고 외친다. 어서 달리란 뜻인가.

- 어디까지 달려 볼까. 오늘은 처음 달리는 날이니까 가볍게 큰길가 보리밥집까지 다녀올까. 보리밥집에서 아이 까까하고 보리술 두 병을 사 볼까. 마당을 살며시 반 바퀴를 돌고 나서 옥수수와 고구마를 심은 밭 옆을 달린다. 동네 이웃한테 인사를 하고 논을 옆으로 끼는 시골길을 달린다. 한창 벼베기를 하거나 밭을 갈아엎는 때라 트랙터 바퀴에서 떨어진 논흙이나 밭흙이 시골길에 점점이 떨어진 채 이어져 있다. 흙덩이를 밟을 때마다 자전거는 덜컹덜컹. 뒤를 돌아보며 “괜찮아?” 하고 물으니 “좋아!” 하고 대꾸. 졸립지만 이렇게 수레를 타고 함께 달리니 무척 좋은가 보다.

- 아이 몸무게를 헤아린다면 아이보다 세 곱은 무거운 책짐을 수레에 실을 뿐 아니라 등에는 가방 가득 책을 넣은 채 오르막을 얼마나 오르내렸던가. 등이 홀가분한데다 고작 십 몇 킬로그램밖에 안 되는 아이를 태우고 달리니 하나도 힘이 들지 않는다.

- 보리밥집에 닿을 무렵 아이는 뒤에서 “다아 왔다!” 하고 외친다. 아이도 우리가 어디로 가는지를 알고 있구나. 자전거를 멈추고 안전띠를 끌러 아이를 내린다. 아이는 아이 까까 하나를 집는다. 엄마 까까를 하나 더 고르고 보리건빵 하나를 또 고른 다음 보리술 두 병을 셈한다. 팔천 원.

- 오던 길을 되짚어 달린다. 집을 나설 때에는 줄곧 “좋아!” 하고 외쳤으나 집으로 가는 길에는 조용하다. 아빠하고 자전거를 처음으로 함께 달린 느낌이 어떠하려나. 아빠는 2005년 무렵에 이 아기수레를 처음 장만했지 싶은데, 드디어 다섯 해 만에 이 아기수레에 참말 아이를 태우고 자전거를 달렸구나. 요 몇 해에 걸쳐 ‘자전거쪽지’를 좀처럼 못 쓰며 지냈는데, 띄엄띄엄 되더라도 오늘부터 차근차근 적어 보아야겠다. 아이를 수레에 태운 첫 날이 10월 12일, 가을이 무르익으며 겨울이 다가오는 철이라 겨울날 아이를 태우고 달리자면 아이가 애먹을 텐데, 추운 날 수레를 타고 달리다가 봄을 맞이하고 여름을 맞이해 보면, 우리 아이도 이렇게 자전거로 달리는 맛이 어떠한가를 살며시 느끼겠지. 내일은 수레에 깃대를 꽂아 큰길을 달릴 때에 자동차가 우리 수레를 잘 알아보도록 해야겠다. 쌓인 짐더미에서 깃대를 얼른 찾아내야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즐거운어치 2010-10-12 23:21   좋아요 1 | URL
부럽네요, 아기수레를 끄는 아빠나 수레를 탄 아가 모두가. 우리 딸래미도 저 나이 때 저런 거 구해다가 태워줄걸. 그러저나 저 아가는 지금 무얼 생각하나. 좀 뿌듯해하는 얼굴 같기도 하고, 아빠 자전거 타는 솜씨를 걱정하는 것 같기도 하고...

숲노래 2010-10-13 04:04   좋아요 1 | URL
졸려서 그래요. 낮잠을 자 준다면 한껏 들떠서 신나게 노래를 불렀을 텐데요..
ㅠ.ㅜ
오늘은 방방 뛰면서 놀지 않으랴 싶어요~
요 수레에는 48킬로그램까지 태울 수 있으니
아이가 컸어도 얼마든지 태울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