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보는 눈 134 : 독후감과 느낌글과 서평과 책이야기

 제 깜냥껏 즐겁게 읽은 책 하나를 놓고 느낌글을 씁니다. 제가 쓰는 느낌글은 저 스스로 즐겁게 읽은 책 하나가 제 삶에 어떻게 스며들었는가를 적바림하는 글입니다. 숙제처럼 하는 독후감이 아니요, 어딘가에 내놓아 글삯을 타내려는 서평이 아닙니다. 말 그대로 책 하나에 얽힌 이야기를 다루는 책이야기입니다.

 저는 느낌글이자 책이야기인 글을 제 누리집에 꾸준히 올려놓습니다. 느낌글이자 책이야기를 쓴 지 열예닐곱 해가 지났으니 그동안 글을 꽤 많이 썼다 할 만합니다. 제가 쓴 느낌글이자 책이야기를 읽으며 도움을 받는 사람이 있을는지 모르고, 저와는 달리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거나 저러거나 저는 제 삶으로 받아들인 책 하나를 놓고 글을 씁니다. 책 하나가 징검다리가 되어 오늘 이 자리에서 이듬날은 어느 자리로 옮아 가는가를 곱씹으며 글을 씁니다. 책 하나를 발판 삼아 오늘 이곳에서 이듬날 저곳으로 어떻게 나아가는가를 헤아리며 글을 씁니다.

 책을 읽는 사람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책을 읽으며 받아들이는 느낌은 모두 다릅니다. 책을 읽으며 받아들일 느낌은 모두 다를밖에 없기에 책을 읽고 나서 쓸 느낌글이나 책이야기는 달라야 합니다. 그런데 어느 때부터인가 제가 쓴 느낌글이나 책이야기를 빌어 ‘독후감 숙제’를 하는 아이들이 생깁니다. 책을 읽자니 번거롭거나 귀찮거나 돈이 아깝고, 책을 읽기는 읽었으나 뭔 소리인지 알 길이 없다면서, 제가 쓴 느낌글이나 책이야기를 요모조모 간추려 독후감 숙제를 내는 듯합니다.

 몇몇 아이들은 ‘담아 갑니다’ 같은 한두 마디를 남깁니다. 이런 말마디를 남기는 아이들은 ‘고맙게 정보나 자료를 얻으니’까 인사말을 남긴다고 생각할 텐데, 차라리 이런 인사말이란 남기지 않고 조용히 베껴야 하지 않느냐 싶습니다. 베끼려면 조용히 베끼고, 드러내어 인사말을 남기고자 한다면 독후감 숙제가 아닌 아이들 깜냥껏 느끼거나 생각한 이야기를 쓸 노릇이라고 봅니다.

 제 느낌글이자 책이야기에 아이들이 남긴 인사말 댓글을 읽다가 울컥 하고 치밀어오릅니다. 그대로 둘 수 없다고 느껴 한 마디 달아 놓습니다. “독후감 숙제를 하려면 책을 읽지 마셔요. 책이 아깝습니다.”

 지난주에 살짝 인천으로 마실을 가며 배다리 헌책방거리에 있는 〈아벨서점〉에 들렀습니다. 아이와 아이 어머니와 저 셋이 다 다른 책시렁에서 책을 살피고 있자니, 키가 어머니보다 큰 중학생 아이가 어머니랑 들어와서는 《삼대》와 《운현궁의 봄》 같은 소설책을 찾습니다. 아니, 찾지 않고 책방 일꾼한테 “이런 책 있나요?” 하고 찾아 달라 말합니다. 스스로 찾지 않고 찾아 달라 이야기합니다.

 문득 깨닫습니다. 헌책방이든 새책방이든 도서관이든, 제대로 말하자면 ‘찾아보기 도움이’란 있을 까닭이 없습니다. 책을 찾으려는 사람은 책방이나 도서관마다 책을 어떻게 갖추고 있는가를 살펴서 몸소 찾아야 합니다. 책은 책을 읽는 사람이 찾아야지 책을 파는 사람이 찾을 일이 아닙니다. 책을 읽을 사람 스스로 내가 바라는 책이 어느 자리에 있는가를 살펴야 합니다. 책을 읽을 사람 스스로 책값을 치르고 책을 가방에 챙겨 책장을 손수 넘겨야 합니다. 책에 깃든 줄거리는 책을 읽는 사람 스스로 삭여서 책을 읽은 사람 스스로 느낌글이자 책이야기를 써야 합니다. ‘독후감·서평·신간소개·북리뷰’ 따위 말이 붙는 글은 책글이 아니요 느낌글이나 책이야기가 될 수 없을 뿐더러, 글조차 아닙니다. (4343.8.20.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