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읽기 / 숲노래 책빛
47걸음
2025년 5월부터 11월 사이에 고흥을 벗어나 부산에서 자그마치 47걸음에 이르는 이야기꽃을 지폈다. 참 용한 녀석이로구나 싶다. 이동안 모든 하루에 다 다르게 노래를 1∼4꼭지를 꼬박꼬박 썼다. 하루쓰기도 용케 끈덕지게 쓰고 또 썼다. 읽은 책도 산 책도 많은데, 부산 〈책과아이들〉 이웃님한테 드릴까 싶어서 “사라진 만화책”을 어젯밤 누리책집에서 실컷 산다. 책값을 적잖이 들였는데, 이야기꽃을 지피며 누리고 나눈 사랑을 헤아려 보면 30만 원쯤은 대수롭지 않다.
어느 곳이나 보금자리를 이룬다. 그리운 님 마음속이란 가장 아늑한 데이지 싶다. 나는 두멧시골에서 살며 바깥일을 보느라 집에 세 사람을 놓고서 혼자 움직일 때면, “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마음으로 이은 빛이야” 하고 속삭이고 되새긴다. 참으로 우리는 서로 빛인걸. 서로 빛인 줄 모른면 서로 빚이고 마는데, 아직 서로 빛 아닌 빚이라면, 나란히 손모아서 새날을 빚으려고 이슬과 눈물과 빗물을 흙(땅)에 담아서 가만히 비비고 빌면 된다.
비기에 빚는다. 비우기에 비친다. 빈손에 빈몸에 빈마음이라서 빛이 스밀 틈이 있고, 빛씨가 스며들면 누구나 꿈을 그리고는 살며시 눈뜨는 새싹으로 비추면서 푸릇하다.
바람과 비와 바다를 어떤 빛갈래로 그리려는가? 밭과 바탕과 밑동은 어떤 빛깔로 물들이려는가?
시외버스 짐칸에 등짐과 책집을 다 둔다. 부산서 서울 가는 07:00 시외버스는 널널하다만, 나는 더 널널하게 가려고, 두 짐도 호젓이 쉬라고, 따로 자리를 잡고서 움직인다. 동트는 하늘을 보는데, 나도 내 옷도 내 책도 내 가방도 내 고무신도 내 붓과 종이도 노상 온곳을 함께 떠돌며 이 별을 굽이굽이 누비네. 눈부터 붙이고 나서 읽고 쓰자. 그동안 잘 읽고 썼으니, 이제부터 모두 또 새롭게 읽고 쓰자. 2025.11.24.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