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1.11.
《내가 사랑한 서점》
서점을잇는사람들 엮음, 니라이카나이, 2025.11.11.
그저 집에서 폭 쉬는 하루이다. 앞꿈치하고 발가락이 욱씬거린다. 등허리를 펴면서 발바닥·발가락·앞꿈치를 주무르며 돌아본다. 쉬잖고 걷고 서고 뛸 적에는 온몸 가운데 발이 먼저 알린다. 가을볕을 가만히 쬔다. 빨래를 해서 말린다. 오늘이 ‘책날’이라고 한다. 그분들은 “책의 날”처럼 일본말씨를 쓰는데, 어버이날과 어린이날과 한글날처럼 ‘바다날’과 ‘숲날’과 ‘책날’이라 해야 맞다. 더구나 한자 ‘冊’이 아닌, 우리말 ‘채우다·채다·채·챙기다·차다·참·참하다·착하다·차곡차곡·차근차근·찬찬·천천·찰랑·출렁·춤·추다’로 잇는 ‘ㅊ’과 ‘ㅏ’와 ‘ㅁ’을 바라보아야 어울릴 텐데. 《내가 사랑한 서점》을 읽었다. 1/5 즈음은 책사랑과 책살림을 짚고 다룬다면, 4/5는 “그냥그냥 그립기는 한데 썩 곁에 두지 않던 마을책집을 어렴풋이 떠올리는 줄거리”로 맴돈다. 꼭 모든 책집을 단골로 드나들던 이야기를 적어야 하지는 않지만 ‘그냥손님’하고도 먼 ‘사라진 책집’을 놓고서 쓴 글이 너무 많다. 책집지기 목소리만 모은 대목은 뜻있되 ‘책집마실’을 서른 해에 마흔 해에 쉰 해를 잇는 책벌레 목소리를 조금쯤 나란히 놓았다면 이 책이 한결 빛나고 알차면서 ‘아쉬운 글’을 메웠을 텐데 싶구나.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