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1.13.


《기계전사 109 3》

 김준범 글·그림, 바다출판사, 2025.5.30.



창원대학교에서 낮에 이야기꽃을 펼 하루이다. 이웃마을 첫 시골버스부터 타려고 논둑길을 걷는다. 고흥읍을 거쳐서 순천으로 가고, 창원으로 가는 칙폭길로 갈아탄다. 어쩌저찌 7시간이 조금 안 걸려서 닿는다. 퍽 비싸 보이는 밥집에서 한끼를 먹는다. 한끼값이 장난아닌 듯싶은데 젊은손님이 붐벼 빈자리가 없다. 창원에서 스무 해 즈음 고을일꾼(공무원)으로 지낸 분이 새배움(재교육)을 퍽 길게 받는다는데, 다른 고을이나 고장에서도 이런 새배움을 하려나? 놀랐고 반가워서 두 시간 이야기꽃을 꾹꾹 눌러채우듯 이곳 고을일꾼한테 말씨앗을 한 톨씩 풀어놓는다. 일을 마치고서 〈책방19호실〉로 걸어간다. 오늘 쉬시네. 〈창원헌책방고도〉로 가는 100버스를 타다가 문득 말씀을 여쭈니 마침 바깥일을 본다며 비우셨단다. 버스에서 내려 마산으로 건너간다. 〈백석이 지나간 작은책방〉에 이르니 열었다. 해질녘에 드디어 책집에 깃드는구나. 《기계전사 109》가 새옷을 입었다. 뜻밖이네 싶으면서도 아쉽다. “일본과 미국만 ‘기계전사’를 그리지 않는다! 우리도 우리 손으로 ‘기계전사’를 그린다!”에 머무는 그림꽃이다. 오직 ‘죽임짓(전쟁)’을 ‘미움씨(분노·증오)’로 풀어내면서 ‘언제나 맞는이(피해자)인 인조인간’이라는 틀에 갇힌다. 우리는 언제 깨어날까? 우리는 언제 사랑을 할까? 우리는 언제 살림을 짓나?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토리빵 1∼7》 펀딩

https://www.aladin.co.kr/m/bookfund/view.aspx?pid=2652&start=w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