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1.6.
《그 유물, 진짜로 봤어?》
박찬희·배성호 글, 철수와영희, 2025.10.18.
어제오늘은 속임꾼(사기꾼)이란 어떤 사람이며 어디에 있는지 곱씹으면서 이야기한다. 유난히 보이는 속임꾼이 있다면, 으레 탈을 쓰는 속임꾼이 있다. 모든 속임꾼은 “없다고 여기며 있는 척”하거나 “있다고 여기며 없는 척”한다, 누구한테나 있는 숨빛을 바라보려고 안 하기에 속임꾼이다. 저마다 다른 숨결을 품으려고 안 하기에 속임꾼이다. 이들은 모든 자리에 있다. 누구나 스스로 숨빛을 사랑하고 숨결을 돌볼 적에는 수수하지만, 숨빛을 안 사랑하고 숨결에 등돌리면 속이려고 든다. 낮에 저잣마실을 다녀오고서 저녁에 작은아이 손을 주무른다. 찬바람이 불어도 언손을 그냥 두는 작은아이라서, 올해에도 새삼스레 ‘따뜻손’으로 보살피는 길을 들려주고 알려준다. 《그 유물, 진짜로 봤어?》는 푸른씨가 온나라 여러 살림숲(박물관)을 가까이 마주하기를 바라는 줄거리를 들려준다. 고을마다 다 다르게 태어난 살림숲에 건사한 옛살림에 어떤 뜻이 있는지 짚는다. 무척 잘 엮었다고 느낀다. 다만 우리나라에는 아직 “참말로 살림숲”이라 할 만한 데는 없다. ‘나라·임금·벼슬아치’하고 얽힌 옛살림만 너무 많다. 수수한 사람이 지은 살림살이를 거의 못 품는다. 더구나 수수한 사람 곁에 푸르게 피어나는 들숲메바다를 고루 담는 눈이 얕다. 그래도 이만 한 책이 나왔으면, 살림숲도 바뀔 수 있겠지.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