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해적 海賊


 해적을 소탕하다 → 도둑을 내쫓다

 해적이 출몰하다 → 바다앗이가 나오다


  ‘해적(海賊)’은 “1. 배를 타고 다니면서, 다른 배나 해안 지방을 습격하여 재물을 빼앗는 강도 ≒ 해랑적”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바다도둑·바다앗이’나 ‘바닷놈’으로 풀어냅니다. ‘가로채다·훔치다’나 ‘도둑’으로 풀 만하고, ‘남몰래·몰래·몰래질·몰래짓·몰래일’로 풀 수 있어요. ‘빼앗다·뺏다·앗다·빼앗기다·뺏기다·앗기다’나 ‘채다·채가다’로 풀어도 어울립니다. ‘뒤·뒷길’이나 ‘뒷구멍·뒷구녁’이나 ‘뒷일·뒷짓’으로 풀어도 되고요. ‘해적선(海賊船)’은 “배를 타고 다니면서, 다른 배나 해안 지방을 습격하여 재물을 빼앗는 해적의 배 ≒ 해랑선”을 가리킨다는데, ‘도둑배’나 ‘바다도둑배·바다앗이배’로 풀면 됩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해적(害敵)’을 “적을 해침”으로 풀이하며 싣지만 털어냅니다. ㅍㄹㄴ



동네 뒷산은 커다란 해적선이 됩니다

→ 마을 뒷메는 커다란 도둑배가 됩니다

《나비의 방석》(이순주, 푸른사상, 2018) 16쪽


해적들은 하나하나 찬찬히 살펴보고 적당한 보석과 교환했지요

→ 바다앗이는 하나하나 보고 알맞은 빛돌과 바꾸었지요

→ 바다도둑은 살펴보고 쓸 만한 빛돌과 바꾸었지요

→ 바닷놈은 찬찬히 보고 좋은 꽃돌과 바꾸었지요

《수상한 해적선의 등장》(구도 노리코/김소연 옮김, 천개의바람, 2019) 58쪽


이른바 해적판이라고 불리는

→ 이른바 뒷길판이라고 하는

→ 이른바 몰래책이라는

《어느 돌멩이의 외침》(유동우, 철수와영희, 2020) 6쪽


전설 속 갈고리 찍찍의 해적선이잖아

→ 갈고리 찍찍 바다도둑배잖아

→ 갈고리 찍찍 도둑배잖아

《보물 찾기 딱 좋은 곳, 바르셀로나》(미겔 팡/김여진 옮김, 후즈갓마이테일, 2025) 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