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찾기 딱 좋은 곳, 바르셀로나 딱 좋은 곳 3
미겔 팡 지음, 김여진 옮김 / 후즈갓마이테일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11.16.

그림책시렁 1675


《보물 찾기 딱 좋은 곳, 바르셀로나》

 미겔 팡

 김여진 옮김

 후즈갓마이테일

 2025.4.21.



  우리가 잘못 보는 여러 가지 가운데 하나로 ‘돈’을 꼽을 만합니다. “돌고돌면서 돕는 돌”이라면 서로 이바지하는 돈이되, 움켜쥐거나 거머쥐면서 혼자 차지하려고 들면 그저 돌머리로 가두는 늪인 돈입니다. 이른바 ‘보물’이라는 한자말을 쓸 적에는 서로 나누며 누리는 ‘빛돌’이 아닌, 혼자 다 쥐면서 “아무 일을 안 하고 탱자탱자 노닥거리기”를 바라는 ‘죽음돌’로 치닫습니다. 《보물 찾기 딱 좋은 곳, 바르셀로나》는 에스파냐 바르셀로나라는 곳을 재미나게 보여주고 알려주는 줄거리입니다. 다만 이런 줄거리에 ‘빛돌 아닌 죽음돌 차지하기’를 꾀하는 여러 바다이웃을 그려넣는군요. 문어가 ‘멍청사람’처럼 돈을 바랄까요? 생쥐가 ‘얼뜬사람’마냥 돈을 노릴까요? 바르셀로나이건 서울이건, 작은고을이나 시골이건, 그곳을 밝히는 ‘빛’이라면 풀씨와 꽃씨와 나무씨 한 톨이라고 느낍니다. 으리으리하게 높이 세운 집이 빛나지 않아요. 우글우글 모인 놀이터(축구장)가 대단하지 않아요. 마당과 골목과 길과 마을에 푸른바람을 베푸는 풀꽃나무가 빛나고 대단합니다. 온누리 어느 곳이든 빛(보물)이 무엇인가 하고 꼽을 적에는 바로 ‘씨앗 한 톨’이어야 아름답다고 느낍니다. 씨앗을 등진 채 돈만 노리니 넋이 나갑니다.


#MiguelPang


ㅍㄹㄴ


《보물 찾기 딱 좋은 곳, 바르셀로나》(미겔 팡/김여진 옮김, 후즈갓마이테일, 2025)


무언가가 내 머리를 내려쳤어

→ 뭐가 내 머리를 내리쳤어

4쪽


배가 가득 들어찬 곳을 발견했어

→ 배가 가득한 곳을 보았어

→ 배가 들어찬 곳을 찾았어

6쪽


전설 속 갈고리 찍찍의 해적선이잖아

→ 갈고리 찍찍 바다도둑배잖아

→ 옛얘기 갈고리 찍찍 도둑배잖아

8쪽


상자 아래에 열쇠의 행방이 그려진 지도와 쪽지가 놓여 있었거든

→ 꾸러미 바닥에 열쇠가 있는 곳을 담은 그림과 쪽글이 있거든

→ 꾸러미 밑에 열쇠가 있는 데를 그린 종이와 쪽글이 있거든

11쪽


다음 목적지에 도착했어

→ 다음길에 닿았어

→ 다음에 이르렀어

16쪽


두 번째 열쇠가 있을 거라고 확신했지

→ 둘째 열쇠가 있으리라 여겼지

→ 보나 마나 둘째 열쇠가 있을 테지

16쪽


형형색색의 방을 지나가며 감탄하기도 했어

→ 반짝이는 곳을 지나가며 놀라기도 했어

→ 무지갯빛 칸을 지나가며 멋지기도 했어

18쪽


내 다리는 무려 여덟 개니까

→ 더구나 내 다리는 여덟이니

→ 게다가 나는 여덟 다리이니

34쪽


모래성처럼 생긴 탑을 필사적으로 기어올랐어

→ 모래담처럼 생긴 뾰족집을 용케 기어올랐어

→ 모래집처럼 생긴 높끝을 바득바득 기어올랐어

36쪽


나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 나도 온힘을 다한다고

→ 나도 악을 쓴다고

38쪽


이 도시에 숨겨진 보물 중 하나를 찾았군

→ 이곳에 숨긴 돈단지 하나를 찾았군

→ 이 고을에 숨긴 돈그릇 하나를 찾았군

48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