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맑밝꽃 (2025.11.7.)

― 부산 〈책과 아이들〉



  마음에 ‘불’을 놓으면 언제나 저절로 ‘불씨’가 싹트고 자라서 ‘불타오르’고, 불타오르면 뜨거우니 ‘활활’ 일렁이는데, 빠르게 번지되 빠르게 식어서 ‘홀랑’ 태우고는 ‘재’가 됩니다. 얼핏 불은 더 빨리 따뜻하다고 여길는지 모르지만, 따뜻한 기운을 이으려면 자꾸자꾸 태워야 하느라, 이른바 기운(젊음)이 일찌감치 사그라들어요. 이러면서 둘레에 ‘불질(부아)’을 내면서 부라퀴처럼 흐릅니다.

  마음에 ‘물’을 놓으면 얼핏 불을 재우는 듯하지만, 그만 차갑게 식히기 일쑤라서, 다시 불을 찾고 맙니다.


  마음에 ‘불’이 아닌 ‘풀’을 놓으면 처음에는 아무것도 없는 듯해서 곧 ‘풀씨’가 바람에 날리고, 조그마한 풀씨가 조그마한 들풀로 싹트고 자라더니 이윽고 풀밭을 이루고, 풀숲이 되다가, 나비가 찾아들고 애벌레가 잎을 갉으면서 새도 덩달아 날아앉아요. 이때에 새는 나무씨를 문득 심고, 새가 심은 나무씨가 더 천천히 싹트고 자라서 시나브로 ‘숲’을 이룹니다. 풀씨를 놓아서 숲을 이루기까지 긴긴 날이 걸리는 듯하지만, 이동안에는 ‘기운을 불사르지(불태우지)’ 않기에 숨결을 고이 잇고, 이때에 ‘푸근(포근)’하게 스스로 품는구나 싶습니다.


  부산 〈책과 아이들〉에서 이야기꽃을 잇고 새로 일구고 다시 읽어내는 나날입니다. 깨어나려는 마음이기에 알을 깨며 알아가요. 안 깨어나려고 하기에 그만 고이고 곪다가 골로 가는 구렁에 잠길 테고요. 알을 깨기란 언뜻 힘들 만하지만, 알아가는 빛을 틔우며 새힘이 솟는다고 봅니다.


  처음 한 사람도 대수롭지만, 언제나 ‘첫(처음)’이 아닌 ‘사람’이 대수롭습니다. 첫길을 열기에 대수롭고, 두길을 가기에 대수롭고, 가운길을 거쳐 끝길을 잇기에 모두 대수롭습니다. 잘하지 않아도 되고, 못해도 넉넉합니다. 잘못했으면 뉘우치고 돌아보면서 바로잡을 일입니다. 누구나 하루를 살아내며 앞으로 나아갑니다. 저마다 오늘을 노래하며 함께 생각합니다.


  흐르는 물이기에 맑고, 흐르는 바람이라서 밝습니다. 우리 몸은 물과 바람을 나란히 품고 어우릅니다. 모든 사람은 맑고 밝은 빛으로 반짝이는 씨앗이 있어요. 아직 눈뜨지 않아서 맑밝빛을 안 쳐다볼 뿐입니다. 아직 싹트지 않아서 맑밝꽃으로 안 나아갈 뿐입니다.


  낱말 하나를 차분히 배우고 익히면서 살림 하나를 차분히 가꾸고 일굽니다. 더 많이 배우기에 더 잘 익히지 않아요. 오늘 이곳에서 배우는 한 가지를 추스르고 어우르는 마음이라면 언제나 이 씨앗 한 톨을 바탕으로 숲을 새로 일으킵니다.


《우리는 소리를 듣지 못하는 야구부입니다》(원유순 글·임승현 그림, 두산동아, 2006.3.30.)

《우리는 지금 모험 중》(이도이아 이리베르테기/성초림 옮김, 키다리, 2023.1.16.)

#Regla nº 1 #IdoiaIribertegui

《국화와 칼》(루스 베네딕트/김윤식·오인석 옮김, 을유문화사, 1974.2.28.첫/2019.8.25.6판/2021.7.15.6판10벌)

《주청공사관 일기》(이수복 글·박건웅 그림, 우리나비, 2022.8.10.첫/2022.11.30.2벌)

《사춘기 준비 사전》(박성우 글·애슝 그림, 창비, 2019.11.25.첫/2019.11.27.2벌)

《이상한 과자 가게 전천당 1》(히로시마 레이코 글·쟈쟈 그림/김정화 옮김, 길벗스쿨, 2019.7.5.첫/2022.2.10.22벌)

#廣島玲子 #ふしぎ?菓子屋錢天堂

《문화어 수업》(한성우·설송아, 어크로스, 2019.8.12.첫/2020.8.20.3벌)

《권기옥》(강정연 글·오영은 그림, 비룡소, 2021.9.10.첫/2024.1.16.3벌)

《35년 2 1916∼1920》(박시백, 비아북, 2018.1.2.)

《앨런의 전쟁》(에마뉘엘 기베르/차예슬·장재경·이하규 옮김, 휴머니스트, 2013.3.4.)

#AlansWar #TheMemoriesofGI #AlanCope #EmmanuelGuiber

《여덟 단어》(박웅현, 북하우스, 2013.5.20.첫/2013.11.11.29벌)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