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려라, 택배 트럭! ㅣ 문학동네 동시집 59
 임미성 지음, 윤지회 그림 / 문학동네 / 2018년 3월
 평점 :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5.10.23.
노래책시렁 517
《달려라, 택배 트럭!》
 임미성 글
 윤지회 그림
 문학동네
 2018.3.5.
  낱말마다 우리 삶이 드러납니다. 우리는 ‘어느’ 낱말이든 쓰면 되지만, ‘아무’ 낱말이나 쓰지 않을 노릇입니다. 내가 스스로 소리를 내거나 마음에 놓거나 글로 옮기는 ‘모든’ 말은 우리 하루를 이루면서 우리 몸과 마음으로 스밉니다. 마음을 말로 고스란히 옮기기도 하고, 말이 그대로 마음으로 자리잡습니다. 이런 얼거리라서 ‘막말·낮춤말·깎음말·얕봄말·구지레말·지저분말·추레말·더럼말·사납말’을 혀에 얹거나 글로 옮기면, 남을 깎지 않고 나를 깎아요. 《달려라, 택배 트럭!》을 읽는데, 여러모로 ‘말놀이 아닌 말장난’이지 싶습니다. “둘리 방구”는 이미 마흔 해 즈음 이른 이야기입니다. 이런 이야기를 굳이 요새 다시 들춰야 할까요? 오늘 이곳에서 ‘어린이부터 어른인 몸으로 이은 나’를 바라보려고 한다면 말장난을 할 일이 없습니다. ‘어른인 몸을 입은 내가 어떤 어린날을 살며 오늘에 이르러 둘레에 어떤 어린 이웃이 있는가’ 하고 돌아보는 눈이라면, 서로 마음을 북돋우는 말살림을 펴게 마련입니다. 노래를 쓰든 수수하게 글을 쓰든, 섣불리 ‘위로·존중·다양성’을 앞세우지 않기를 빕니다. 그저 나란히 서서 나랑 너를 함께 헤아리는 눈빛이면 넉넉합니다. 함께 이야기하려는 마음을 쓰면 됩니다.
ㅍㄹㄴ
‘둘리 문방구’에서 / ‘문’ 자가 없어지고 / ‘둘리 방구’가 되었지만 / 나는 그대로야 (둘리 문방구 유리문의 비밀/18쪽)
종이 한 장이 이렇게나 무겁다 / 글자가 무겁기 때문이다 / 엄마는 이 한 장을 못 들고, 오늘 / 주저앉았다 (종이 한 장/47쪽)
형들은 우리보고 / 야, 나대지 마라 하며 / 축구할 때 빠지라고 한다 // 4학년짜리들은 우릴 보고 / 6학년도 아니면서 뭘 째려봐 / 이런다 (5학년/66쪽)
현장학습 간 날, / 내 옷에 붙은 도깨비바늘은 / 무엇이 될까? // 도깨비가 될까? / 바늘이 될까? (무엇이 될까?/70쪽)
+
《달려라, 택배 트럭!》(임미성, 문학동네, 2018)
즐거움과 따뜻한 위로가 되길 빌어요
→ 즐겁고 따뜻이 달래기를 빌어요
→ 즐겁고 따뜻하기를 빌어요
6쪽
바다 냄새 나는 책을 읽는 게 좋아
→ 바다냄새 나는 책을 읽으며 즐거워
→ 바다냄새 책을 읽으며 즐거워
17쪽
그 애의 손을 잡듯 부드럽게 악수를 하듯 손이 손에게 말을 걸게 하는 거야
→ 그 애 손을 잡듯 부드럽게 맞잡듯 손이 손한테 말을 걸어
25쪽
봉투 안에
→ 글자루에
→ 자루에
47쪽
잠자리 한 마리 나 읽는 책 위에 앉았다
→ 잠자리 한 마리 책에 앉는다
→ 나 읽는 책에 잠자리 한 마리 앉는다
54쪽
새들끼리는 여름 인사 잘 통해서
→ 새는 서로 여름말 잘 들려서
→ 새끼리 서로 여름말 잘 들어서
→ 새는 저희끼리 여름말 잘 나누니
82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