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임야 林野
광활한 임야를 개발한다며 → 너른 들숲메를 파헤친다며
이 임야의 소유주는 → 이 숲들메 임자는
임야에 접근하기 편하도록 → 온들숲을 찾기 쉽도록
‘임야(林野)’는 “숲과 들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들내숲·들이며 내이며 숲이며’이나 ‘들숲·들숲내·들숲메·들메·들숲바다·들숲내바다’로 손봅니다. ‘멧들·멧들내·멧들내숲·멧들숲바다’나 ‘멧숲·멧자락’으로 손보며, ‘숲·수풀·숲메’나 ‘숲나라·숲누리·고루숲·두루숲’으로 손보고요. ‘숲들·숲들내·숲들메·숲들바다·숲들내바다’나 ‘온들·온들메·온들내·온들숲’이나 ‘온숲·온숲내·온숲들·온숲메’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푸른메·풀빛메·푸른숲·풀빛숲’이나 ‘꽃나무·꽃나무풀·꽃풀·꽃풀나무’로 손볼 수 있어요. ‘풀꽃·풀꽃나무·풀꽃길·풀꽃빛’이나 ‘풀붙이·풀꽃붙이·풀꽃나무붙이’로 손보아도 돼요. ㅍㄹㄴ
풍수 좋다는 소문이 돌자 외지인들이 경쟁적으로 바닷가의 임야를 사들여 묘를 지었다고 한다
→ 땅빛 좋다는 말이 돌자 뜨내기가 앞다퉈 바닷가 들숲을 사들여 무덤을 지었다고 한다
《아내와 걸었다》(김종휘, 샨티, 2007) 13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