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오만방자
오만방자한 태도에 국민들의 분노가 끓고 있다 → 건방진 몸짓에 사람들이 끓는다
여전히 오만방자한 성격이다 → 아직 버릇없다 / 아직 젠체한다
너의 오만방자함이 어느 수준인지 알겠다 → 네 막짓이 어떠한지 알겠다
오만방자 : x
오만(傲慢) : 태도나 행동이 건방지거나 거만함
방자(放恣) : 어려워하거나 조심스러워하는 태도가 없이 무례하고 건방지다
거만하다(倨慢-) : 잘난 체하며 남을 업신여기는 데가 있다
건방지다 : 젠체하며 지나치게 주제넘다
주제넘다 : 말이나 행동이 건방져 분수에 지나친 데가 있다
건방지기에 ‘건방지다’고 합니다. 잘난체를 하면 ‘잘난체·잘난척·자랑·좁쌀’이라 하면 될 테고, ‘업신여기다·깔보다·까불다·덜먹다’라 하면 되어요. ‘젠체하다·주제넘다·버릇없다·버르장머리없다’라 할 만하고, ‘몹쓸·무람없다·뻐기다·뻔뻔하다·뽐내다’라 하면 됩니다. ‘괘씸하다·못되다·막나가다’나 ‘거들먹거리다·나대다·마구·마구잡이·제멋대로’라 해도 어울립니다. ‘미다·바라지다·버젓이·비싸다·도도하다·되바라지다’나 ‘속좁다·야코·얄궂다·짓궂다·어리석다’라 할 만하지요. ‘어디·이런·닥치다’나 ‘지랄·-질·짓·짓거리’나 ‘짜다·쪼잔하다·쫄래쫄래’라 하면 되어요. ‘철없다·콧대·콩켜팥켜’나 ‘함부로·헤다·호로놈·후레놈’이라 하고요. ㅍㄹㄴ
오만방자한 보르그레빈크도 비록 간밤에는 자신을 방해했지만
→ 건방진 보르그레빈크도 비록 간밤에는 저를 가로막았지만
→ 몹쓸 보르그레빈크도 비록 간밤에는 저를 괴롭혔지만
《뒷골목 고양이》(어니스트 톰슨 시튼/장석봉 옮김, 지호, 2003) 364쪽
염라대왕의 총애를 듬뿍 받는다더니, 과연 오만방자하군요
→ 저승님 사랑을 듬뿍 받는다더니, 참 버릇이 없군요
→ 저승임금이 아낀다더니, 듣던 대로 버르장머리없군요
→ 저승지기가 귀여워한다더니, 아주 건방지군요
→ 저승님이 감싼다더니, 꽤나 콧대가 높군요
→ 저승지기가 품는다더니, 그야말로 잘난척이군요
《신과 함께, 이승편 上》(주호민, 애니북스, 2011) 155쪽
오만방자한 문장으로 타투를 새기지 않은 게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 철없는 글씨를 몸에 새기지 않아 얼마나 숨돌렸는지 모른다
→ 쪼잔한 글을 몸에 그리지 않아 얼마나 한숨돌렸는지 모른다
→ 도도한 글씨를 살에 새기지 않았기에 망정이다
→ 그래도 막나가는 글을 살그림으로 새기지 않았다
《오역하는 말들》(황석희, 북다, 2025) 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