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r Mom 엄마, 고마워요 블루 데이 북 The Blue Day Book 시리즈
브래들리 트레버 그리브 지음, 신현림 옮김 / 바다출판사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5.10.2.

사진책시렁 169


《Dear Mom》

 브래들리 트레버 그리브

 신현림 옮김

 바다출판사

 2001.12.5.



  한때 구름처럼 팔리다가 잊히는 책이 수두룩합니다. 책은 바람(유행)이 아닙니다만, 온나라는 으레 바람타기를 좋아하더군요. 이 바람에 휩쓸려 어느 책과 보임꽃(영화)이 우루루 기울고, 저 바람에 휘말려 다른 줄거리에 와르르 쏠립니다. 한가을로 접어든 열쨋달 첫날에 우리집 마당에 살며시 내려앉은 반딧불이가 어느새 부엌으로 들어왔더군요. 어디에 틈이 있어서 들어왔는지 모르지만, 우리가 마루에서 마당으로 드나드는 길에 슬쩍 묻어서 들어올 만합니다. 반딧불이는 들숲이 아닌 사람집에 깃들어 무엇을 보았을까요? 큰아이가 살살 잡아서 마당으로 내보냈는데, 작은풀벌레는 어떤 밤을 보낸 셈일까요? 《Dear Mom》이 갓 나온 2001년 무렵을 돌아봅니다. 우리나라 책숲(도서관)은 아직도 빛책(사진책)을 거의·아예 안 들이기 일쑤이지만, 이 책은 용케 책숲에 깃들었고 꽤 읽혔습니다. 나쁘다고 할 책은 아니지만, 빛꽃(사진)이라면 꼭 ‘재미나거나 우스꽝스럽거나 남다르게 비틀거나 꾸며서 찍어야 하는’ 줄 잘못 알리고 퍼뜨린 책 가운데 하나로 삼을 만합니다. 더구나 한글판이 왜 “엄마한테”나 “엄마야”가 아닌 “Dear Mom”이어야 했을까요? 빛으로 담는 그림이란, 그저 빛이란 뜻입니다. 반딧불이마냥 밤을 밝힐 만한 빛이기에 찰칵 하고 담는 오늘 하루입니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