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954 : 미의 기준 실체 것 판단


미의 기준이라는 실체도 없는 것을 왜 남들이 함부로 판단해?

→ 귀엽다는 눈금은 없는데 왜 남들이 함부로 따져?

→ 멋있다는 잣대는 없는데 왜 남들이 함부로 가름해?

→ 곱다는 길은 없는데 왜 남들이 함부로 다뤄?

《지하철에서 옆자리에 흑인이 앉았다》(예롱, 뿌리와이파리, 2019) 96쪽


사람은 모두 다르기에, 멋과 맛이 다 다릅니다. 나한테 멋있거나 맛있어도 너한테는 멋없거나 맛없을 만합니다. 누구한테는 보기좋아도, 누구한테는 보기나쁠 테지요. 이와 달리 사랑은 언제나 사랑이고, 아름다움과 참은 늘 아름다움과 참이에요. 사랑·아름다움·참은 따로 잣대나 틀이 없습니다. 이래야 귀엽다거나 저래야 멋있다는 잣대는 함부로 떠들거나 따질 수 없어요. 어우르고 아우르며 함께 나아가는 길을 차분히 바라보려고 한다면, 무늬도 모습도 없는 헛된 길은 말끔히 걷어낼 만합니다. ㅍㄹㄴ


미(美) : 1. 눈 따위의 감각 기관을 통하여 인간에게 좋은 느낌을 주는 아름다움 2. (일부 명사 앞 또는 뒤에 붙어)‘아름다움’의 뜻을 나타내는 말

기준(基準) : 1. 기본이 되는 표준 2. [군사] 제식 훈련에서, 대오(隊伍)를 정렬하는 데 기본이 되는 표준을 대원들에게 알리는 구령

실체(實體) : 1. 실제의 물체. 또는 외형에 대한 실상(實相) 2. [수학] 실수로 이루어진 체 = 실수체 3. [철학] 늘 변하지 아니하고 일정하게 지속하면서 사물의 근원을 이루는 것 ≒ 서브스턴스

판단(判斷) : 사물을 인식하여 논리나 기준 등에 따라 판정을 내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