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랑살랑 Q 3
아마가쿠레 기도 지음, 오경화 옮김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24년 2월
평점 :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9.24.
만화책시렁 728
《살랑살랑 Q 3》
아마가쿠레 기도
오경화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4.2.28.
일본말 ‘이면지(裏面紙)’라 일컫는 종이는 ‘헌종이’일 수 있고, ‘되종이’나 ‘뒷종이’일 수 있습니다. 보는 눈길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이는 숨결과 길입니다. 헌종이라면 버릴 종이로 삼을 텐데, 헌종이라서 더 가볍게 이모저모 쓰고 그리는 틈이 있습니다. 이미 버리려던 종이였기에 되살리면서 ‘되종이’로 피어납니다. 앞에 다른 글그림이 찍혔지만 뒤는 하얗기에, 하얀 자리를 새롭게 채울 수 있는 ‘널리 빈’ 빛을 채울 수 있는 종이라고도 느낄 수 있어요. 《살랑살랑 Q 3》을 펴면, 갈팡질팡하지만 늘 제 길을 바라보고 나아가려는 여러 아이가 나옵니다. ‘제 길’이란, 나로서 나(저)를 보며 제대로 가려는 길입니다. 나(저)보다 낫거나 높거나 좋아 보이는 남이 늘 보이더라도, 가볍게 눈을 감고서 새로 뜨고는 기운을 차리려는 길입니다. 우리는 나를 남하고 견주거나 맞댈 까닭이 없어요. 나는 내 발걸음으로 걷고, 내 코로 숨쉬고, 내 손으로 젓가라글 쥐면 됩니다. 살랑살랑 부는 바람은 온누리 모든 다 다른 꽃을 간질이면서 곱게 피어나는 길을 북돋웁니다. 살몃살몃 드리우는 해는 온누리 뭇숨결을 부드럽게 깨우면서 저마다 즐겁게 오늘 하루를 살아가라며 노래합니다.
ㅍㄹㄴ
“잘 들어라, 큐코. 너는 신의 심부름꾼과 인간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 신의 심부름꾼의 미모와 힘은 인간이 외경심을 품게 만들기 위해 존재했던 것이다. 네가 다른 형제들과 다른 것에도 분명 의미가 있을 게야.” (75쪽)
“나는 네가 원래의 모습이 아니어도, 지금의 모습이 아니어도, 어떤 모습이든 상관없어.” (89쪽)
“자꾸 비교하는 세상이 잘못된 거지. 세상이 바뀌면 되잖아?” (148쪽)
“그래서 나는 사실, 나와 내가 아닌 세상을 바꾸고 싶어.” (149쪽)
#ゆらゆらQ #雨?ギド
+
《살랑살랑 Q 3》(아마가쿠레 기도/오경화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4)
갑자기 대타로 들어오게 돼서
→ 갑자기 다른이로 들어와서
→ 갑자기 딴아이로 들어와서
14쪽
편히 쉬고 있어∼
→ 느긋이 쉬어!
→ 달콤히 쉬어!
→ 마음대로 있어!
→ 가붓이 있어!
39쪽
너희 집에서 퇴마 좀 해줄 수 없을까
→ 너희 집에서 좀 몰아낼 수 없을까
→ 너희 집에서 좀 내쫓을 수 없을까
43쪽
인간의 미추(美醜) 기준 따윈 신경 써본 적도 없지만
→ 사람살이 빛그늘 따윈 마음써 본 적도 없지만
→ 사람이 가르는 기쁨슬픔 따윈 마음쓴 적도 없지만
→ 사람이 따지는 삶 따윈 마음쓴 적도 없지만
59쪽
신의 심부름꾼의 미모와 힘은 인간이 외경심을 품게 만들기 위해 존재했던 것이다
→ 하늘 심부름꾼인 꽃낯과 힘이니, 사람들이 높이 여기라는 뜻이다
→ 하늘 심부름꾼 몸매와 힘이란, 사람들이 거룩히 보라는 뜻이다
75쪽
고로, 큐코 너는 이 메뉴를 소화해 줘야겠다
→ 곧, 큐코 너는 이 차림대로 해내야겠다
→ 그래서, 큐코 너는 이대로 해야겠다
99쪽
노력 위에 지금의 자신이 존재한다는 걸 증명하기 위해
→ 내가 오늘까지 이렇게 애썼다고 보여주려고
→ 내가 여태까지 이처럼 땀흘렸다고 밝히려고
→ 그동안 애써서 오늘 내가 있다고 보여주려고
→ 이제껏 땀흘려 오늘 나를 이루었다고 밝히도록
108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