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두 달 나무 아이 그림책이 참 좋아 43
최숙희 글.그림 / 책읽는곰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9.21.

그림책시렁 1635


《열두 달 나무 아이》

 최숙희

 책읽는곰

 2017.10.17.



  나무를 ‘나무’로 안 그리는 사람들을 보면 “꿀밤 좀 먹이고 싶다”고 말하는 우리집 작은아이한테 “얘야, 네가 꿀밤을 먹인들 그 사람은 안 바뀌고, 오히려 왈칵발칵 성을 낼 뿐이란다.” 하고 속삭입니다. 길나무이든 배움나무(학교나무)이든 마구 가지치기로 괴롭히는 사람들을 보면 “저 사람들은 저희 팔다리를 저렇게 잘라도 좋을까요!” 하고 안타까워하는 우리집 큰아이한테 “그렇지만 저 사람들은 팔다리가 잘린 적이 없어서 모르는걸. 더구나 저 사람들은 나무 옆에 있더라도 나무가 들려주는 말을 못 듣고 안 듣는단다.” 하고 다독입니다. 《열두 달 나무 아이》가 나온 2017년에 처음 읽을 적에도 흠칫 놀랐고, 2025년에 새삼스레 되읽을 적에도 갸우뚱합니다. 나무가 나무로서 나무답게 자라는 모습을 본 적이 없이 붓을 쥐었을까요? 사람이 마구 가지치기를 하거나 괴롭힌 탓에 ‘가지가 둘로 벌어진 채’ 줄기가 오르는 나무입니다. 게다가 사람들이 자꾸 베고 괴롭힐 적에 ‘줄기가 구불구불’합니다. 소나무뿐 아니라 모든 나무는 곧게 외줄기로 오릅니다. 덩굴나무만 구불구불 덩굴줄기를 뻗습니다. 제발 나무를 나무로 숲에서 품기를 바라요. 더구나 열두 달 나무를 다루면서 꽤 뜬금없구나 싶은 나무가 섞이기도 합니다. 이 땅 들숲메마을에서 오래오래 사람 곁에 있고, 새가 둥지를 틀고, 나비가 날갯짓하는 숱한 나무가 있는걸요. ‘나무’를 모르는 사람은 ‘나’도 ‘아이’도 ‘어른’도 못 보게 마련입니다. 그러니까 ‘나무를 나무로 그리지 않는 붓’은 ‘아이를 아이로 담지 않는 붓’일 수밖에 없습니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