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삼류 三流
삼류 소설가 → 후진 글바치 / 주저리 글꾼
삼류 영화 → 얕은 보임꽃 / 다라운 보임꽃
삼류 호텔 → 귀퉁이 길손집 / 허접 길손집
‘삼류(三流)’는 “어떤 방면에서 가장 낮은 지위나 부류”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여러모로 보면 ‘셋·석·세’나 ‘셋째·셋째가다·세찌’로 고쳐쓸 만하고, ‘떨어지다·모자라다·낮다’나 ‘어수룩하다·어설프다·엉성하다·엉망·엉터리’로 고쳐쓰면 됩니다. ‘어이없다·어처구니없다·어쭙잖다·터무니없다’나 ‘따분하다·재미없다·후줄근하다·후지다’로 고쳐쓰지요. ‘초라하다·추레하다·퀴퀴하다’나 ‘구석·구석빼기·귀퉁이·모서리·흉’으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군것·군더더기·군말·군소리·젬것·젬치·젬뱅이’나 ‘못나다·못쓰다·허술하다·허접하다·어쭙잖다’로 고쳐써요. ‘더럽다·다랍다·나뒹굴다·지리다·지저분하다’나 ‘얕다·우습다·우스꽝스럽다·웃기다’로 고쳐쓰지요. ‘잠꼬대·졸다·졸리다·하품·지질하다’로 고쳐쓰거나, ‘주저리·주접·씨나락 까먹는 소리’나 ‘허드레·허술하다·허접하다·헙수룩·헤뜨다’로 고쳐쓰면 되고요. ㅍㄹㄴ
그런 별 볼일 없는 3류 사립고 졸의 학력으로는 사회 복귀도 불안하고
→ 그런 아무 볼일 없는 낮은 사립고 배움줄로는 바깥일도 아슬하고
→ 그런 영 볼일 없는 귀퉁이 사립고를 마쳐서는 바깥살림도 아슬하고
《누나는 짱! 1》(와타나베 타에코/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1999) 35쪽
삼류! 삼류 남자를 달고 다니는 삼류 여자
→ 셋째! 셋째돌이를 달고 다니는 셋째순이
→ 못나! 못난돌이를 달고 다니는 못난순이
《건방진 천사 15》(니시모리 히로유키/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2) 65쪽
각양각색의 삼류 잠언들을
→ 여러 추레한 곁말을
→ 온갖 퀴퀴한 가르침을
→ 이런저런 허접한 꽃말을
《김기영, 하녀들 봉기하다》(이효인, 하늘아래, 2002) 95쪽
있잖아 조무래기니 삼류니, 말끝마다 상대를 깎아내려야 직성이 풀리는 거니
→ 있잖아 조무래기니 우스우니, 말끝마다 깎아내려야 성이 풀리니
→ 있잖아 조무래기니 주접이니, 말끝마다 깎아내려야 속이 풀리니
《모브사이코 100 2》(ONE/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4) 98쪽
스캔들만 쓰는 삼류 잡지를 잘 보시기 바랍니다
→ 고약하게 쓰는 후진 달책을 잘 보시기 바랍니다
→ 흉만 쓰는 추레한 달책을 잘 보시기 바랍니다
→ 얼룩만 쓰는 다라운 달책을 잘 보시기 바랍니다
《친애하는 미스터 최》(사노 요코·최정호/요시카와 나기 옮김, 남해의봄날, 2019) 54쪽
관객에는 이류도 삼류도 없어
→ 보는눈은 둘째도 셋째도 없어
→ 손님은 낮지도 얕지도 않아
《서커스의 딸 올가 3》(야마모토 룬룬/이은주 옮김, 대원씨아이, 2020) 21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