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9.11.


《생명을 보는 눈》

 조병범 글, 자연과생태, 2022.2.17.



작은아이가 우리집 후박나무에 앉아서 노래하다가 무화과나무 쪽으로 건너가는 꾀꼬리 두 마리를 보았단다. 작은아이가 곰곰이 보노라니, 꾀꼬리처럼 깃빛이 노랗기에 잘 보일 만한 새는 오히려 꼭꼭 숨어서 찾아보기가 어렵지만, 직박구리나 멧비둘기처럼 투박한 깃빛이라든지 까막까치처럼 까만새는 굳이 안 숨는 듯하단다. 작은아이가 들려주는 말을 가만히 듣는다. 옳구나. 참새도 굳이 안 숨는다. 훤히 보인다. 작은새는 드디어 파랑새를 본 날도 “파랑새는 잘 보일 듯한데 얼마나 잘 숨는지 몰라요.” 한다. 《생명을 보는 눈》을 읽는 내내 아쉬웠다. 사람이라는 숨빛뿐 아니라, 온누리 뭇숨결을 바라볼 적에는, 말 그대로 ‘바라본’ 삶을 쓸 노릇이다. ‘바라본’ 바가 아니라, ‘서울(도시문명사회) 틀에 맞춘’ 눈으로 보려고 하면 뒤틀리게 마련이다. 어떤 새도 ‘연구대상’이 아니다. 어떤 풀꽃나무도 ‘학술대상’이 아니다. 어떤 미꾸리나 좀수수치도 ‘관찰대상’이 아니다. 그저 숨결이요 숨빛이자 숨붙이인걸. 그저 밝게 보면 된다. 그저 숲빛으로 스며들면서 나란히 보면 된다. 이리 재거나 저리 따지거나 그리 틀박지 않으면 된다. ‘학자’가 아니라 ‘이웃’이자 ‘동무’요 ‘한마을 한집안’으로 품어야 제대로 볼 수 있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