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꾸만 꿈만 꾸자 문학동네 시인선 231
조온윤 지음 / 문학동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5.9.8.

노래책시렁 511


《자꾸만 꿈만 꾸자》

 조온윤

 문학동네

 2025.5.15.



  아직 먼 듯하지만 어느 날 맞이하고 싶은 길을 그리기에 ‘꿈’이라고 합니다. 얼핏 보면 ‘꾸미’는 듯하되, 스스로 온마음을 다하여 ‘꾸리’고 싶은 길을 ‘꾸준’하게 그리기에 ‘꿈’입니다. 속으로 담고 품고 안고 돌보는 그림을 ‘가꾸’거나 ‘일구’려고 하기에, 아직 멀거나 못 이루었다고 여기더라도 즐겁게 오늘 이곳에서 살아가며 기운을 차립니다. 《자꾸만 꿈만 꾸자》를 읽으며 ‘꿈’이라는 길과 하루와 마음과 씨앗을 곱씹습니다. 남이 해주기를 바란다면 꿈일 수 없이 ‘꾸밈짓’입니다. 혼자만 잘되거나 좋기를 꾀한다면 꿈과 먼 ‘꾸지람’으로 기웁니다. 왜 못하느냐고 눈치를 받더라도 꾸준하게 나아가기에 ‘일꾼’입니다. ‘꿋꿋’하게 등허리를 펴면서 걷기에 ‘꼿꼿’하게 가슴과 어깨를 펴더니, 시나브로 ‘꽃’을 피웁니다. 여태 ‘꼬마’로 보였다지만, ‘꼴찌(밑바닥)’에서 헤매고 갈닦는 사이에 마침내 너울을 일으키며 스스로 일어납니다. 그러니까 “자꾸 꿈만 그리는” 사람은 없습니다. 꿈‘을’ 그리는 하루가 아니라, 꿈‘만’ 그리는 하루라면, 몸소 이 삶을 지으려는 마음이 없이 남한테 기대려는 허울이라는 뜻입니다. 노래라면 오늘과 앞날을 잇는 꿈씨앗이 흐를 테지요. 모쪼록 ‘씨앗꿈’을 바라보기를 바라요. ‘남(사회)’이 아닌 ‘나(사랑)’를 바라보아야 ‘꿈’입니다.


ㅍㄹㄴ


삶을 소진한 대가로 얻은 휴가에서 / 당신이 뜨거운 계절에 머물겠다 대답한대도 / 눈 내리는 바다를 싫어하는 게 아니라면 (균형 감각/25쪽)


중고로 내놓은 꿈이라면 더 좋겠어 / 너무 오래 품고 지내 포장지가 닳고 바랜 꿈 / 천원 오천원쯤 싼값에 구할 수 있겠지 / 옆구리에 꿈을 베개처럼 끼고 약속한 장소에서 만나도 / 어느 날 세상에는 없는 수상한 발신지로부터 / 너는 기기한 연락을 받겠지 (꿈 아카이브/30쪽)


+


《자꾸만 꿈만 꾸자》(조온윤, 문학동네, 2025)


이 책을 매몽 문서로 삼고

→ 이 책을 꿈팔이글로 삼고

5


함께 있는 시간들로 받겠습니다

→ 함께 있는 나날로 받겠습니다

→ 함게 있는 하루로 받겠습니다

5


누군가 문틈에 끼워둔

→ 누가 틈에 끼워둔

→ 누가 틈새에 끼워둔

→ 누가 끼워둔

12


낯모를 미래의 손뼉이

→ 낯모를 다가올 손뼉이

→ 낯모를 먼 손뼉이

12


슬픔의 냄새가 밴 품이 썩 편안하지만은 않지만

→ 슬픔냄새가 밴 품이 썩 아늑하지만은 않지만

→ 슬픈 냄새가 밴 품이 썩 포근하지만은 않지만

14


개가식으로 운영되는 수 세기 후의 도서관에서 당신의 실록을 보았지

→ 보임칸으로 꾸리는 여러 온해 뒤 책숲에서 이녁 삶적이를 보았지

→ 열린칸으로 돌보는 뭇온해 지난 책마루에서 그대 발자국을 보았지

16


사계절이 사라진 분기점으로부터

→ 네철이 사라진 곳부터

→ 철이 사라진 난달부터

→ 철이 사라진 길목부터

18


괄호로 싸인 정숙한 실내에

→ 묶음칸으로 싼 차분한 곳에

→ 묶고 싼 조용한 이곳에

22


도서관 불안(library anxiety). 도서관 이용에 미숙한 사람이 책을 찾을 때 느끼는 혼란, 근심, 좌절 등의 감정

→ 책앓이. 책숲에 서툰 사람이 책을 찾다가 헤매거나 근심하거나 두손드는 마음

→ 책멍. 책터가 낯선 사람이 책을 찾다가 널브러지거나 근심하거나 무너지는 마음

23


가로짜기로 조판된 일간신문에서 왼편에서 오른편으로

→ 가로짜기 하루새뜸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 가로로 짠 새뜸에서 왼켠에서 오른켠으로

34


우리에겐 시절이 있잖아, 시절을 말하면 웃게 되잖아

→ 우리한텐 철이 있잖아, 철을 말하면 웃잖아

→ 우리한텐 날이 있잖아, 날을 말하면 웃잖아

→ 우리한텐 그날이 있잖아, 그날을 말하면 웃잖아

44


꿈에서는 분명 대교가 무너졌는데

→ 꿈에서는 참말 다리가 무너졌는데

52


약하고 가여워질 뿐 바뀌는 건 없었지

→ 여리고 가여울 뿐 안 바뀌지

→ 힘없고 가여울 뿐 그대로이지

52


빛의 색출이 뜨거운 날에는

→ 빛을 뜨겁게 들추는 날에는

→ 빛을 뜨겁게 빼내는 날에는

64


모퉁이를 돌며 희미하게 번지는 아이들의 소음, 횡단하는 도로에 낙오한 새끼 오리처럼

→ 모퉁이를 돌며 어렴풋이 번지는 아이들 소리, 건너는 길에 뒤처진 새끼 오리처럼

65


눈의 여행은 유구하고 눈의 여행은 지난하지

→ 눈길은 깊고 눈길은 모질지

→ 눈길은 깊고 눈길은 멀지

→ 눈마실은 길고 눈마실은 고되지

92


빵의 총량에는 변함이 없지만

→ 빵은 그대로이지만

→ 빵은 같은 무게이지만

98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