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눈물로 읽는 2025.8.10.해.



몸을 함부로 굴리면 마음이 나란히 뒹굴어. 마음을 안 들여다보면 몸을 아무렇게나 굴려. 몸을 다루는 그대로 마음에 담지. 마음을 쓰는 그대로 몸을 쓰고, 이 삶을 겪고 배우려고 몸을 쓰는데, 겪고 배운 삶을 되짚으면서 배우려고 마음을 살펴. 몸만 쓸 적에는 마음이 찌들고, 마음만 쳐다보고서 몸은 안 쳐다보면 몸이 무너져. 넌 ‘마음몸’을 돌보든 ‘몸마음’을 보살피든, 어느 쪽을 ‘먼저’ 돌보거나 보살피지 않는단다. 얼핏 어느 쪽을 먼저 살피는구나 하고 느낄는지 몰라도, 늘 둘을 하나로 녹이거나 풀어서 살아간단다. 사랑으로 읽기에 마음몸이며 몸마음에 사랑이 흘러. 눈물로 읽기에 몸마음이며 마음몸에 눈물이 스며서 녹여. 웃고 춤추면서 읽기에 몸과 마음이 나란히 바다처럼 싱그럽고 맑게 일어나. 너는 눈을 거쳐서 본다고 여길 텐데, ‘눈’은 몸일까 마음일까? 또는 몸마음일까 마음몸일까? 새벽마다 잎에 맺힌 이슬은 어떤 물일까? 기쁘거나 슬플 적에 샘솟아서 쪼르르 흐르는 눈물은 어떤 숨빛일까? 구름을 거쳐서 빗물로 내리는 방울방울은 어떤 숨결일까? 누구나 스스로 그리는 길을 따라서 하루를 열고서 오늘을 살아가. 놀랍거나 심심한 하루란 없어. 새롭고도 즐겁게 맞이하는 하루인걸. “처음에 말씀이 있었다”라는 한 마디를 알겠니? 어느 말이건 모두 이곳에 짓게 마련이라서, 네가 참으로 이루고 짓고 펴고 누리고 싶은 대로 꿈을 그려서 마음을 펴는 소리인 ‘말’을 ‘씨앗’으로 삼아서 내놓을 노릇이라는 뜻이야. “처음에 네가 말로 심은 뜻”에 따라서 ‘네 오늘’이 태어나. 네 마음은 “네 말이 자라서 이룬 나무가 우거진 숲”이야. 거짓말을 일삼는 너는 ‘거짓말숲’을 이루고, 참말을 사랑하는 너는 ‘참말숲’을 이룬단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