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8.22.
《獄中書簡》
디이트리트 폰회퍼 글/고범서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1967.4.15.
마치 ‘신영복’이라도 된 듯, 또는 ‘김구’처럼 나라찾기에 온몸을 바치기라도 한 듯, 스스로 떠벌이고 자랑하기를 못 그치는 ‘조국’이라는 “옛 서울대 법학과 나으리”가 계시다. 이분은 시늉(코스프레)도 잘하고, 장사(북콘서트)도 잘하고, 벼슬도 잘 쥐고, 비싼밥도 잘 자신다. 다만, 이녁이 아닌 수수한 들사람이 나라일을 맡거나 길잡이로 서거나 일꾼으로 서지 않기를 바라는 티를 늘 낸다. 늘 이녁이 한가운데에 서서 우두머리로 찰칵찰칵 찍혀야 한다고 여긴다. 헌책집에서 본회퍼 님 책을 스치면 으레 새삼스레 쥐곤 한다. 이미 읽은 책이어도 다시 들추면서 곱새긴다. 2016년에 한글판이 새로 나온 《獄中書簡》이다. 눈물과 땀을 이슬과 비로 녹여낸 하루가 흐르는 꾸러미라고 여길 만하다. 모든 사람이 본회퍼 님 같을 수야 없다지만, 모든 사람한테는 ‘넋’과 ‘숨’이 있다. 누구나 스스로 마음에 살림씨앗을 심는다. 저마다 마음이라는 바다에 생각씨앗을 심는다. 하느님 이야기를 담았다는 꾸러미를 보면 “처음에 말씀이 있었다” 같은 대목이 있다. 우리 옛말에는 “말이 씨가 된다”가 있고, 둘은 나란하다. 참하거나 착한 길도 씨앗이되, 꾸미거나 거짓스런 길도 씨앗이다. 알맹이로 갈는지 쭉정이로 길들는지 스스로 갈 뿐이다.
《옥중서신, 저항과 복종》(디트리히 본회퍼/김순현 옮김, 복있는사람, 2016.9.19.)
#WiderstandundErgebung #DietrichBonhoeffer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