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8.12.


《우리는 왜 회사의 입장에서 이야기할까?》

 박대리 글·안다연 그림, 영수책방, 2021.4.22.



어제부터 내리는 비는 오늘도 잇는다. 시원하게 우렁차게 힘차게 들숲메를 적신다. 늦여름에 시골에서 허벌나게 뿌려대던 풀죽임물을 싹 걷어내고 씻는 빗발이다. 논밭에 벌레가 들끓는 까닭은 몇 가지인데, 첫째는 ‘한 갈래만 빽빽히 심기’ 때문이다. 둘째는, 새·벌·개미·개구리·두꺼비·반딧불이·다슬기·뱀 같은 뭇숨결이 사라진 탓이다. 셋째, 시멘트·농약·비닐·농기계·화학비료를 이 땅에 쏟아붓기 때문이다. 넷째, 자동차가 지나치게 늘고, 뒷간이 사라진 탓이다. 다섯째, 시골을 미워하고 서울을 좋아하는 마음이 꼭대기에 다다라, 이제 시골이 텅 비기 때문에, 돈에 눈먼 벼슬질이 판친다. 여섯째, 시골에서 책읽고 배우며 익히는 사람도, 서울에서 숲책을 품으며 숲살림을 헤아리는 사람도, 너무 드문 탓이다. 《우리는 왜 회사의 입장에서 이야기할까?》는 첫머리는 길을 잡는 듯싶다가, 어느새 샛길로 빠지고서 맺는다고 느낀다. 아무래도 ‘일터’가 아닌 ‘회사’가 어떤 얼개인지 더 못 짚은 탓이겠지. 우리나라는 일본이 뼈대를 닦은 곳에 그냥 몸을 실었다. ‘군대·학교·회사·공공기관’은 똑같은 틀이다. 모두 위아래로 갈라서 시키고 담벼락을 친다. 이제라도 ‘너나우리’라는 길을 새로 여는 마음으로 거듭나야 ‘서로 헤아리는 일터’로 바꿀 만하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