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종 鐘


 종이 울리다 → 달랑 울리다 / 댕 울리다 / 쟁쟁거리다 / 쇠가 울리다

 종을 치다 → 쇠를 치다 / 쇠북을 치다 / 댕 치다 / 쟁 치다


  ‘종(鐘)’은 “1. 어떤 시간 또는 시각을 알리거나 신호를 하기 위하여 치거나 흔들어 소리를 내는 금속 기구 2. 미리 정하여 놓은 시각이 되면 저절로 소리가 나도록 장치가 되어 있는 시계 = 자명종 3. [음악] 국악에서, 놋쇠로 만든 타악기의 하나”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방울’이나 ‘쇠북·쇠방울’이나 ‘쇠·쇠붙이·쇠돌·큰쇠’로 다듬습니다. ‘울리다·울림·울림꽃·울림이·울림소리’나 ‘딸랑이’로 다듬고, ‘달랑·달그랑·딸랑·딸그랑’으로 다듬으면 돼요. ‘땡·땡그랑·땡땡·땡강’이나 ‘댕·댕그랑·댕댕·댕강’으로도 다듬습니다. ‘쟁·쟁소리·쟁쟁·쟁쟁거리다’나 ‘징·징소리·징징·징징거리다’로 다듬어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4교시 시작종이 울린 지

→ 넉자락 소리 울린 지

→ 넉마당을 알린 지

《냄새 폭탄 뿜! 뿜!》(박세현, 한솔수북, 2021) 28쪽


며칠 전에 수도원의 커다란 종 아래에서 곤히 낮잠을 자는

→ 며칠 앞서 비나리집 커다란 방울 밑에서 달게 낮잠이던

→ 며칠 앞서 비손집 커다란 딸랑이 밑에서 달게 낮잠이던

《0원으로 사는 삶》(박정미, 들녘, 2022) 357쪽


종 모양의 단추를 찾았습니다

→ 방울꼴 단추를 찾았습니다

《알바니아 의자》(정정화, 걷는사람, 2022) 16쪽


근처에서 들려오는 종소리에 주위를 둘러보니

→ 가까이에서 들려오는 댕소리에 둘러보니

→ 둘레에서 들려오는 방울소리를 살피니

→ 곁에서 울리는 소리에 둘러보니

→ 둘레에서 들려오는 징소리를 살피니

《한 달의 고베》(한예리, 세나북스, 2025) 33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