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적 敵
누구의 적인지 불분명하다 → 누구 맞잡이인지 흐릿하다
우리의 적을 풀어주지 마라 → 저쪽 놈을 풀어주지 마라
책의 적은 물과 불이다 → 책은 물과 불을 꺼린다
‘적(敵)’은 “1. 서로 싸우거나 해치고자 하는 상대 2. 어떤 것에 해를 끼치는 요소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경기나 시합 따위에서 서로 승부를 겨루는 상대편”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의 + 적’ 얼개라면 ‘-의’부터 털고서, ‘놈·놈팡이’나 ‘맞잡이·맞들이’나 ‘몹쓸것·몹쓸놈·몹쓸녀석’이나 ‘밉다·싫다·꺼리다·멀리하다·끔찍하다’로 풀어낼 만합니다. ‘밉놈·밉것·두렵다·무섭다·무시무시하다’나 ‘저쪽·저켠·저곳·저기’로 풀어내어도 되고, ‘붙다·맞붙다·맞서다·다투다·싸우다·겨루다’나 ‘티격태격·툭탁거리다’로 풀어내어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이렇게 보면 자연재해야말로 우리의 적이 아닐까 싶다
→ 이렇게 보면 벼락이야말로 우리가 미워할 만하지 싶다
→ 이렇게 보면 이아치기야말로 싫을 만하지 싶다
《나를 찾아서》(하일지, 민음사, 2006) 221쪽
이제부터 난 인어의 적이다
→ 이제 난 물사람과 싸운다
→ 이제 난 물사람을 죽인다
→ 이제 난 바딧사람이 싫다
→ 이제 난 바닷사람이 밉다
《코럴-손바닥 안의 바다 4》(TONO/한나리 옮김, 시공사, 2014) 107쪽
자본의 최대의 적(敵)은 자립한 삶이다
→ 손수짓는 삶을 싫어하는 돈이다
→ 살림짓기를 미워하는 돈다발이다
《민중의 이름으로》(이보 모슬리/김정현 옮김, 녹색평론사, 2022) 6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