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7.3.
《시 쓰는 나무》
샤나 라보이 레이놀즈 글·샤르자드 메이다니 그림/문혜진 옮김, 다산기획. 2020.4.15.
여름에는 시골집에서 웃통을 벗고서 해바람을 맞아들이기에 즐겁다. 등과 배와 가슴과 어깨에 햇볕을 듬뿍 쏘이면서 바람을 마시면 꽤 오래 따끈따끈하다. 해바람을 나란히 머금으면서 나무 곁에 서면 오히려 땀이 안 맺힌다. 후박나무에 사다리를 대고 올라가서 후박알을 훑는다. 바람이 불 때마다 후박잎이 서로 부딪히면서 푸른노래를 베풀고, 등허리에 팔다리를 간질인다. 사다리 꼭대기까지 올라가서 후박알을 따기에 잔바람에도 흔들거리는데, 바람과 나무가 장난을 건다고 느낀다. 우리가 후박알을 따는 코앞에서 멧새도 후박알을 쫀다. 나무 한 그루에서 여럿이 조금 떨어져서 푸른빛을 누린다. 《시 쓰는 나무》는 몹시 잘 나온 그림책이로구나 싶다. 노래란 무엇이고, 노래는 어떻게 쓰고, 노래를 어떻게 나누며, 노래로 어떻게 삶을 밝혀서 즐겁게 하루를 누리는지 차분히 펼쳐냈다고 느낀다. 더구나 이 그림책은 두 아이가 나무 한 그루를 사이에 두고서 노랫가락으로 푸르게 만난다. 더 잘 쓴 노래란 없다. 늘 오늘 우리 눈빛을 담는 노래요, 언제나 우리 손길을 얹는 노랫가락이다. 모든 길을 춤짓으로 일으키기에 즐겁게 깨어나는 노래 한 자락이다.
#Poetree #ShaunaLaVoyReynolds #ShahrzadMaydani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