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 앞차는 빨리 안 가고 뭐 하는 거야!
다원 지음 / 하우어린이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7.15.

그림책시렁 1603


《맨 앞차는 빨리 안 가고 뭐 하는 거야!》

 다원

 하우어린이

 2025.3.30.



  누구나 쇳덩이를 몰지 않습니다. 더구나 어린이는 쇳덩이를 안 몹니다. 어린이는 걷거나 달리고, 뛰거나 기거나 쪼그려앉아서 둘레를 봅니다. 모든 어른도 아이였지만, 어쩐지 나이를 조금 먹었다면서 자꾸 지난날을 잊기 일쑤인데, 누구나 걷고 달리고 서고 뛰고 기고 쪼그려앉고 눕고 뒹굽니다. 그렇지만 어쩐지 이제는 “누구나 걷는다”를 잊은 채 “누구나 몬다(운전)”는 굴레에 스스로 갇힙니다. 《맨 앞차는 빨리 안 가고 뭐 하는 거야!》는 얼핏 ‘이웃 헤아리기’를 그림감으로 삼은 듯하지만, 막상 ‘불길(분노) 터뜨리기 + 불길(분노) 내쏘기’가 바탕입니다. “어른들끼리 만든 부릉부릉 매캐한 길바닥 싸움질”을 아이한테 일찌감치 보여주고 물려주고 알려주는 굴레입니다. 잘 짚어야 합니다. 길이 왜 막힐까요? 남들이 다 쇳덩이를 길바닥에 몰고 나오기 때문일까요? 아닙니다. ‘나부터’ 부릉부릉 쇳덩이를 모니까 붐비고 막힙니다. ‘나부터’ 쇳덩이를 버리고서 거닐면 길이 안 붐비고 안 막힙니다. “맨 앞차는 빨리 안 가고 뭐 하는 거야!”는 바로 “넌 왜 쓸데없이 길바닥에 쇳덩이를 끌고 나와서, 내가 갈 길이 이렇게 막히고 느려야 하는데!” 하면서 마구 불타오르면서 남(이웃)을 미워하는 얼개예요. 제발, 이제 그만둡시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