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948 : 감사 공손 -ㄴ 의미
이런 감사에는 ‘고맙습니다’라는 공손한 말보다 훨씬 큰 의미가 있다
→ 이런 말은 ‘고맙습니다’라는 점잖은 말보다 훨씬 크다
→ 이런 절은 ‘고맙습니다’라는 얌전한 말보다 훨씬 뜻깊다
《자연은 계산하지 않는다》(로빈 월 키머러/노승영 옮김, 다산초당, 2025) 19쪽
고마우니 절을 합니다. 고맙다는 말은 점잖거나 얌전할 만합니다. 이 보기글은 “이런 감사에는 ‘고맙습니다’라는”처럼 적으니 엉뚱합니다. 한자말 ‘감사’는 ‘고맙다’를 뜻할 뿐입니다. 이 말이 뜻깊거나 저 말이 뜻없지 않습니다. 말뜻을 가리고 헤아릴 노릇입니다. “큰 의미가 있다”는 잘못 쓰는 옮김말씨입니다. ‘큰뜻’처럼 한 낱말로 묶는 자리가 있고, “크게 뜻이 있다”처럼 적을 자리가 있고, “크다”처럼 단출히 쓸 자리가 있습니다. ㅍㄹㄴ
감사(感謝) : 1. 고마움을 나타내는 인사 2. 고맙게 여김. 또는 그런 마음
공손하다(恭遜-) : 말이나 행동이 겸손하고 예의 바르다
의미(意味) : 1. 말이나 글의 뜻 2. 행위나 현상이 지닌 뜻 3. 사물이나 현상의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