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6.21.


《목화씨》

 조혜란 글·그림, 글로연, 2024.11.9.



가볍게 적시는 빗소리로 하루를 연다. 새벽글을 쓰는 틈틈이 책을 읽는다. 어느덧 날이 밝는다. 〈책과 아이들〉 지기님하고 삶·사람·부산 이야기를 더 잇는다. 책짐을 지고 안으면서 광안바다 곁 〈책방온실〉로 간다. 새로 나온 《결혼식은 준비하지만, 결혼은 준비하지 않았다》를 기리는 조촐한 잔치가 있어서 펴냄터 지기님이 부산마실을 하신단다. 얼굴을 뵈려고 들르고서 사상나루로 건너간다. 15:35 고흥버스는 빈자리가 없다. 다만 고흥 가는 손님은 나 혼자네. 광양·순천으로 가는 젊은이가 빼곡했다. 고흥읍에서 20:00 시골버스를 타고서 집에 닿는다. 씻고 저녁을 먹을 무렵 빗줄기가 굵다. 빗방울은 “네가 집에 올 때까지 기다렸어. 나 어때? 나 어때?” 하고 외친다. “멋지구나. 고마워!” 하고 대꾸한다. 《목화씨》를 읽었다. ‘솜’을 들려주는 그림책이 반갑다. 다만, ‘목화(木花)’라는 한자말에 이미 ‘-꽃’이라는 낱말이 깃든다. 이제는 ‘솜·솜꽃·솜씨’ 같은 우리말을 쓸 수 있기를 빈다. 우리가 우리말을 안 쓰면 누가 쓰겠는가. 어른부터 우리말을 써야 아이들이 물려받는다. 해바람비를 머금은 풀꽃한테서 솜을 얻고 실을 누린다. 흙에 뿌리를 내린 풀과 나무가 사람을 돕고 살리며 북돋운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