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6.14.
《글쓰기에 대하여》
마거릿 애트우드 글/박설영 옮김, 프시케의숲, 2021.3.1.
비가 시원스레 적시는 아침에 부산 기장군 일광읍 ‘이지더원 2차 포레온 작은도서관’으로 찾아간다. 잿마을(아파트단지)에 갈 일이 아예 없다시피 하기에, 잿마을 작은책숲에서 이야기꽃을 펴는 하루는 여러모로 배울거리가 그득하다. “여기는 그렇게 큰 단지가 아니”라는 말을 듣는다. 잿마을에 커다란 몸가꿈터(피트니스센터)가 있던데 다른 잿마을은 훨씬 크다고 한다. “요새는 단지 밖으로 한 발짝도 나갈 일이 없어요” 같은 말을 듣고서 한참 곱씹는다. 비가 그치는 저녁에는 연산동 〈파크카의 밤〉에 깃들어 ‘이응모임 열다섯걸음’을 마무리한다. 글로, 책으로, 말씀으로, 마음으로, 노래로, 함께 걸어온 길이란, 함께 배우며 가르친 숲길이었다. 《글쓰기에 대하여》를 읽었다. “글쓰기에 대하여”란 말은 ‘중1영어 직역’인데, 이 대목을 잊은 분이 너무 많다. 우리말로는 “글쓰기란”이나 “글쓰기는”이다. “글을 쓰는”이나 “글이란”이라고도 할 만하다. 으레 ‘의·적·화·성’만 덜어도 글이 살아난다고 여기는데, ‘것·-고 있·-지다·-되다’에 ‘-에 대한·존재·그녀·하지만·나의’를 더 덜어야 비로소 “글이 보인다”고 할 만하다. 글이란, 마음을 그림으로 담아낸 숨빛인 줄 알아채면, 누구나 글님일 수 있다.
#MargaretAtwood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