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6.10.
《냉전의 벽》
김려실과 일곱 사람 글, 호밀밭, 2023.6.25.
집으로 돌아왔으니 저잣마실을 나갈까 했으나 그만둔다. 하루를 푹 쉬면서 여러 일을 돌본다. 집안일을 하고 빨래를 한다. 늦은낮에는 큰아이하고 앵두를 따면서 새소리를 듣는다. 둘이서 어느새 큰들이를 채운다. 이튿날 더 하면 큰들이 하나를 더 얻을 만하다. 구름이 짙다가도, 이슬비를 뿌리다가도, 새삼스레 해가 나면서 싱그럽고 따사로운 여름이다. 여름이되 덥지 않고 따사롭다. 워낙 새여름은 안 덥던 날씨이다. 구름 없는 한낮이라면 조금 덥더라도 바람과 구름이 이내 식히는 길목이다. 《냉전의 벽》을 읽었다. “차가운 담”은 남이 쌓지 않는다. 큰나라가 끼어들었다고 여기되, 우리가 큰나라 등쌀과 옷자락에 휘둘리기에 “얼음담”을 쌓는다. 옆에서 쑤석거리는 놈이 있기에 “겨울담벼락”이 생길 수도 있되, 모든 겨울담은 우리가 스스로 녹이고 허물 만하다. 이제는 우리가 할 때이다. 이제부터 우리가 치우고 걷어낼 노릇이다. 높녘(북)에도 ‘사람’이 살지만, 꼭두각시와 허깨비가 무시무시하게 도사린다. 마녘(남)은 어떤가? 우리는 서로 ‘사람’으로 여기는가, 아니면 이미 마녘에서도 서로 차갑게 담벼락을 높다랗게 세우면서 싸우는가? 민낯을 고스란히 바라볼 때라야 응어리도 고름도 생채기도 하나하나 달랠 수 있다.
ㅍㄹ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