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5.5.25. 보는틈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꽤 지난 이야기인데, ‘보는눈’과 ‘듣는귀’ 같은 낱말을 엮은 적이 있습니다. 둘레에서는 으레 띄어서 “보는 눈”이나 “듣는 귀”처럼 씁니다만, 두 낱말은 하나로 여겨야 어울리겠다고 느꼈습니다. 그저 ‘눈’이나 ‘귀’라고 할 적에는, 보거나 듣기도 할 테지만, 안 보거나 안 듣기도 합니다. 따로 ‘보는눈’과 ‘듣는귀’처럼 새말을 쓸 적에는, 우리 스스로 눈과 귀를 새삼스레 마주하고 느끼면서 편다는 뜻입니다.


  문득 ‘보는틈’과 ‘듣는틈’처럼 새말을 여밉니다. 누구나 눈과 귀를 열면서 널리 배우고 살뜰히 익힐 텐데, 보거나 들을 틈을 낼 줄 알아야 배움길과 익힘길로 나아가겠구나 싶어요. 틈을 내기에 눈과 귀를 열어요. 틈을 안 내거나 못 내기에 눈과 귀를 못 열거나 닫습니다.


  우리말 ‘틈’은 1초나 1분이나 1시간뿐 아니라 한 달이나 한 해나 열 해를 가리킬 수 있습니다. 스스로 기울이려는 마음에 따라서 늘 다르게 맞아들이는 틈입니다. 틈을 내기에 틔우고, 틔울 줄 알기에 싹트고 움틀 수 있어요.


 2025.5.26. 서울 화곡동 〈악어책방〉 ― 19:30부터 “마음글 쓰기” 두걸음


 2025.5.27. 서울 숭실대 옆 〈라이브러리 두란노〉 ― 10:00부터 “섬섬꽃” 석걸음


 2025.5.27. 부천 원미동 〈용서점〉 ― 16:00부터 “사읽어용” 새걸음 (+ 로자 파크스)


  이틀에 걸쳐서 서울과 부천 사이를 오가면서 이야기꽃을 폅니다. 이야기씨앗을 함께 누릴 이웃님은 사뿐히 마실해서 즐겁게 어울리는 늦봄빛을 오순도순 주거니받거니 할 수 있기를 비는 마음입니다. 〈용서점〉에서 다달이 여는 이야기꽃은 이달부터 새걸음으로 꾸리려고 합니다. “숨은사람찾기”마냥 우리가 스스로 잊으면서 그만 놓치거나 지나친 아름길 이야기를 다루려는 자리입니다. 이 첫걸음으로 ‘로자 파크스’를 다룹니다.


ㅍㄹㄴ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