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850 : 지배 원가족에 대한 원망 -졌


나를 지배하던 원가족에 대한 원망이 매우 낯설게 느껴졌다

→ 내가 미워하던 보금자리가 매우 낯설다

→ 내가 싫어하던 첫터전이 매우 낯설다

→ 내가 달갑잖던 자람터가 매우 낯설다

《탯줄은 끊은 지 오래인데》(김정, 호밀밭, 2025) 7쪽


미워하니 미움씨앗이 남습니다. 싫어하니 싫음씨앗을 심어요. 달갑잖다고 여기니 달갑잖다는 마음이 훌훌 퍼집니다. 사라지기를 바라기에 얼른 사라지라며 노래할 수 있으나, 이때에는 오히려 더 굳으면서 넓게 자리잡아요. 먼저 풀어내지 않을 적에는 안 사라지고, 스스로 맺고 끊지 않을 적에는 고스란합니다. 사랑하는 보금자리를 일구기에 여태 등돌리던 첫터가 바뀝니다. 아름답게 둥지를 가꾸는 사이에 나부터 바뀌면서 옛터도 자람터도 가만히 바뀝니다. 일본말씨인 “나를 지배하던 + -에 대한 + 원망이”는 “내가 미워하던”이나 “내가 싫어하던”처럼 수수하게 손볼 만합니다. ㅍㄹㄴ


지배(支配) : 1. 어떤 사람이나 집단, 조직, 사물 등을 자기의 의사대로 복종하게 하여 다스림 2. 외부의 요인이 사람의 생각이나 행동에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침 3. [언어] 구나 문장 안에서, 어떤 단어가 관계하는 다른 단어에 대하여 특정한 형태를 갖추도록 요구하는 일. 또는 그런 문법 관계

원가족 : x

대하다(對-) : 1. 마주 향하여 있다 2. 어떤 태도로 상대하다 3. 대상이나 상대로 삼다 4. 작품 따위를 직접 읽거나 감상하다

원망(怨望) : 못마땅하게 여기어 탓하거나 불평을 품고 미워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