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세대 世代
한 세대 가까이 → 한 동 가까이 / 한 고개 가까이 / 한 줄기 가까이
젊은 세대 → 젊은 또래 / 젊은길 / 젊은무리 / 젊은줄
어른 세대 → 어른 또래 / 어른길 / 어른무리 / 어른줄
세대 간의 갈등 → 한또래 다툼 / 한터울 다툼
우리 세대에 꼭 이루어야 할 → 우리 줄기에서 꼭 이룰
지난 세대의 잘못을 답습해서는 → 지난사람 잘못을 되풀이해서는
‘세대(世代)’는 “1. 어린아이가 성장하여 부모 일을 계승할 때까지의 30년 정도 되는 기간 ≒ 대 2. 같은 시대에 살면서 공통의 의식을 가지는 비슷한 연령층의 사람 전체 3. 한 생물이 생겨나서 생존을 끝마칠 때까지의 기간 4. 그때에 당면한 시대”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고개·고갯길·고갯마루·재·잿길·잿마루’나 ‘길·길눈·길꽃·걸음·걸음결·걸음새·걸음꽃’으로 손봅니다. ‘동·또래·무리·뭇길’이나 ‘벌·-뻘·바·밧줄·샅바·줄·줄기’로 손볼 만합니다. ‘사람·사람들·사람붙이·사람무리’나 ‘씨알·씨앗·알씨·씨줄’로 손보고, ‘아이·아이들·아이꽃’이나 ‘자락·자리·짝·켤레·판’으로 손보아도 어울려요. ‘집·집길·집줄기·집안·집꽃·집씨’나 ‘집안길·집안내림·집안물림’으로 손보고, ‘집이름·집내림·집물림’으로 손보지요. ‘피·핏줄’이나 ‘한또래·한터울’로 손볼 수 있습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세대(細大)’를 “1. 가는 것과 굵은 것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작은 일과 큰일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세거”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털어냅니다. ㅍㄹㄴ
자유방임을 믿던 마지막 세대는 가버리고
→ 날갯짓을 믿던 마지막 고개는 가버리고
→ 나래짓을 믿던 마지막 또래는 가버리고
《나는 믿는다》(버트런드 러셀/최혁순 옮김, 범우사, 1999) 218쪽
새로운 세대의 전투적 흑인 젊은이들이 존재한다
→ 새롭고 힘찬 흑인 젊은이가 있다
→ 새롭고 씩씩한 흑인 젊은이가 있다
→ 새롭고 당찬 흑인 젊은이가 있다
《달리는 기차 위에 중립은 없다》(하워드 진/유강은 옮김, 이후, 2002) 117쪽
외국에서 사는 사람들은 함께 일하며 공동체 사회를 이루고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몇 세대가 흐른 뒤에는 그들의 최초의 언어를 거의 보존하지 못 한다
→ 먼나라에서 사는 사람들은 함께 일하는 두레를 이루었어도, 몇 고개가 흐른 뒤에는 예전 말씨를 거의 지키지 못 한다
→ 다른나라에서 사는 사람은 함께 일하는 터전을 이루었어도, 몇 자리가 흐른 뒤에는 첫말을 거의 잇지 못 한다
《언어 기원에 관한 시론》(장 자크 루소/주경복·고봉만 옮김, 책세상, 2002) 73쪽
우리 세대에 종말을 고할 또 하나의 생물로 기록될 상황이다
→ 우리 또래에 마지막을 알릴 또 다른 숨결로 남을 듯하다
→ 우리한테 마지막이 될 또 다른 숨붙이가 될 듯하다
→ 우리 때에 마지막이 될 또 다른 목숨붙이가 될 듯하다
《우리 동물 이야기》(박병상, 북갤럽, 2002) 167쪽
비용과 혜택이 여러 세대들에 걸쳐 나오는 초장기적 투자라는 사실이다
→ 돈으로나 바라지로나 앞으로 길게 잇도록 힘을 쏟는 일이다
→ 앞으로 오래오래 돈이 되고 넉넉히 누리는 길이다
《영어를 공용어로 삼자》(복거일, 삼성경제연구소, 2003) 118쪽
요즘 세대는 우물이라는 것을 보지 못했을 것이다
→ 요즘은 우물을 보지 못 한다
→ 요즘사람은 우물을 못 본다
《크로스 : 정재승 + 진중권》(정재승·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2009) 195쪽
김훈 세대가 그래서 그런지
→ 김훈 또래가 그래서 그런지
→ 김훈 나잇결이 그래서 그런지
《우리말 소반다듬이》(권오운, 문학수첩, 2011) 156쪽
증산에 매진했던 새마을운동 세대인 60∼70대 분들만 해도 야생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던
→ 더 거두려고 힘쏟던 새마을물결 또래인 60∼70줄 분들만 해도 들풀을 잘 모르던
→ 많이 거두려고만 하던 새마을바람 또래인 60∼70줄 분들만 해도 풀을 잘 모르던
《풍신난 도시농부 흙을 꿈꾸다》(정화진, 삶창, 2013) 33쪽
사교적 사귐을 잘 모르는 이들, 특히 젊은 디지털 세대들의 경우에는
→ 사람을 잘 사귈 줄 모르는 이들, 더욱이 젊은 누리또래는
→ 이웃과 잘 사귈 줄 모르는 이들, 더구나 젊은 새또래는
《여성의 우정에 관하여》(메릴린 옐롬·테리사 도너번 브라운/정지인 옮김, 책과함께, 2016) 21쪽
엄희자 등을 1세대로, 강경옥, 이미리, 황미나 등을 3세대로 구분한다면
→ 엄희자 들을 첫자리로, 강경옥 이미리 황미나 들을 석자리로 가른다면
→ 엄희자 들을 첫걸음, 강경옥 이미리 황미나 들을 석걸음으로 나눈다면
→ 엄희자 들을 첫자락, 강경옥 이미리 황미나 들을 석자락으로 여긴다면
→ 엄희자 들을 첫또래, 강경옥 이미리 황미나 들을 석또래로 본다면
《한국 순정만화 작가 사전》(조영주, 파사주, 2018) 46쪽
최소한의 금전 지불로 최대의 이익을 얻고자 하는 쇼핑 방식이 지금의 세대인 것이다
→ 되도록 적게 써서 가장 나은 길을 얻고자 하는 오늘날 사람들이다
→ 가장 적은 돈으로 가장 나은 길을 얻고자 하는 요즈음 흐름이다
《거리를 바꾸는 작은 가게》(호리에 아쓰시/정문주 옮김, 민음사, 2018) 77쪽
아주아주 오래전부터 수 세대를 거쳐
→ 아주아주 오랫동안 여러 길을 거쳐
→ 아주아주 옛날부터 긴 자리를 거쳐
→ 아주아주 옛날부터 긴 삶길을 거쳐
→ 아주아주 오래 숱한 걸음을 거쳐
《안녕, 동백숲 작은 집(하얼과 페달, 열매하나, 2018) 43쪽
나의 윗세대가 나의 특이한 삶의 방식을 지지해 주는 것을 경험하고
→ 내 윗길이 이 새로운 살림새를 믿어 주는 모습을 지켜보고
→ 윗길에서 내 남다른 삶을 북돋아 주는 모습을 보고
《모든 시도는 따뜻할 수밖에》(이내, 이후진프레스, 2018) 69쪽
전 세대보다 상대적으로 박탈감을 느껴 더욱 힘들다는 감정을 갖는다
→ 예전보다 더 끊겼다고 느껴 더욱 힘들다고 여긴다
→ 옛날보다 더더 빼앗겼다 느껴 더욱 힘들다고 본다
《타락한 저항》(이라영, 교유서가, 2019) 23쪽
다음 세대를 널리 퍼뜨려 번식시키는 묘책까지 마련했다
→ 다음 씨앗을 널리 퍼뜨릴 길까지 마련했다
→ 다음 아이를 널리 퍼뜨릴 꾀까지 마련했다
《나무처럼 살아간다》(리즈 마빈 글·애니 데이비드슨 그림/김현수 옮김, 알피코프, 2020) 33쪽
지금까지 이 C세대 강아지의 행보는 다음과 같다
→ 이제까지 이 ㄷ또래 강아지는 다음처럼 굴었다
→ 오늘까지 이 ㄷ무리 강아지는 다음 같았다
《개와 고양이를 키웁니다》(카렐 차페크/신소희 옮김, 유유, 2021) 78쪽
젊은 세대인 아이들과는 제줏말로 통하지 못한다
→ 젊은이하고는 제주말을 주고받지 못한다
→ 젊은이와 아이하고는 제주말을 쓰지 못한다
《제줏말 작은사전》(김학준, 제라헌, 2021) 6쪽
그다음 세대 아이들도 같을 것이다
→ 그다음 아이들도 같다
《히로시마, 사라진 가족》(사시다 가즈·스즈키 로쿠로/김보나 옮김, 청어람아이, 2022) 34쪽
나는 비밀 병기를 장전해주는 심정으로 미래 세대와의 글쓰기 수업을 시작한다
→ 나는 속힘을 채워 주는 마음으로 아이들하고 글쓰기를 익힌다
→ 나는 속빛을 챙겨 주려고 푸름이하고 글쓰기 자리를 연다
《날씨와 얼굴》(이슬아, 위고, 2023) 13쪽
우리의 읽기 습관은 미래 세대에게 어떤 향을 물려줄까
→ 우리가 읽는 길은 아이들한테 어떤 냄새를 물려줄까
→ 우리가 읽는 매무새는 앞으로 어떤 내음을 물려줄까
《나무 내음을 맡는 열세 가지 방법》(데이비드 조지 해스컬/노승영 옮김, 에이도스, 2024) 148쪽
독서는 나이에 관계없이 모든 세대에 유익한 활동이다
→ 책은 누구한테나 이바지한다
→ 책을 읽으면 누구나 빛난다
→ 책은 너나없이 북돋운다
→ 우리는 책을 읽으며 배운다
《독서의 뇌과학》(가와시마 류타/황미숙 옮김, 현대지성, 2024) 1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