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5.5.13.
오늘말. 발버둥
안 될 적에 붙잡으면 더 괴롭습니다. 안 되는구나 싶으면 스스럼없이 내려놓고서 바람과 햇볕을 속으로 붙안을 일이라고 느낍니다. 제멋대로 구는 어느 놈이 보이면 낯부터 찡그리면서 도려내고 싶을 만한데, 막하는 남을 바라볼수록 오히려 억세게 꼬여요. 앙탈을 하는 그이를 안 나무라야 할 까닭은 없지만, 우리가 한결같이 잇고 가꿀 이곳을 보아야 천천히 바꿉니다. 굳이 참지 않고, 애써 버티지 않습니다. 우길 일이란 없고, 떼로 이루는 일조차 없어요. 피나고 땀나도록 힘썼기에 이룰 때가 있지만, 한길을 고이 걷는 발걸음이기에 시나브로 이루지 싶습니다. 조금만 안 되어도 발버둥이라든지 아득바득 억지를 부리는 누가 있을 만한데, 빙그레 웃고서 지나가요. 종알종알 중얼중얼 징징대는 누가 있다면, 방긋방긋 웃고서 우리 일손을 가다듬습니다. 매달리면 힘듭니다. 내세우면 지칩니다. 골내면 곪습니다. 투정이라면 투덜투덜하다가 끝나요. 푸념으로는 풀지도 품지도 못 합니다. 얼핏 갑갑할 수 있고, 아직 딱딱할 수 있으며, 자꾸 밀어대니 싫을 수 있습니다. 이때에는 가만히 눈을 감아요. 스스로 걸으려는 꿈씨를 새로 헤아리면서 다시 눈을 뜹니다.
ㅍㄹㄴ
잡다·붙잡다·붙들다·붙안다·그러안다·고지식·마구·마음대로·멋대로·막하다·-만·-뿐·제멋대로·외눈·외곬·외넋·외곬넋·외길·쇠뿔·애꾸·치우치다·기울다·밀다·밀어대다·보채다·견디다·검질기다·끈질기다·끈덕지다·한결같다·바득바득·아득바득·발버둥·뻣뻣하다·악다구니·갑갑하다·딱딱하다·구태여·굳이·그대로·꼬장꼬장·버티다·내버티다·참다·배기다·배짱·우기다·이기다·질기다·억세다·드세다·세차다·세다·거세다·종알·중얼·징징·칭얼·떼·떼쟁이·쟁쟁대다·내세우다·매달리다·바라보다·엇가락·골내다·바보·멍청이·악착·안간힘·앙탈·어거지·억지·억척·속·속힘·악물다·악쓰다·애쓰다·용쓰다·피나다·이어가다·이어받다·잇다·자꾸·지키다·한결같다·한길·한눈·찡그리다·투덜대다·투정·푸념·품다 ← 고집(固執), 고집불통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