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5.6.

숨은책 1057


《時體自解 內鮮間牘》

 김동규 글

 덕흥서림

 1943.5.20.



  우리는 아직 ‘우리말로 글쓰기’라는 길을 세우지 않았습니다. 오늘날은 누구나 말글을 마음껏 누리지만, 정작 ‘누구나 우리말로 글쓰기’를 한 지는 얼마 안 됩니다. 지난날에는 임금한테 조아리는 ‘한문으로 글쓰기’를 얼추 오백 해 동안 잇다가 ‘일본말로 글쓰기’를 한참 해야 했습니다. 1945년 뒤로도 ‘한문·일본말로 글쓰기’라는 틀이 오래 이었어요. ‘수수하고 사랑스럽게 우리말로 글쓰기’라는 길은 이제 처음으로 세워야 하는 셈입니다. 《時體自解 內鮮間牘》은 1943년에 나옵니다. 이무렵에는 앞으로도 일본굴레가 그대로 이으리라고 여긴 사람이 대단히 많았다지요. 그냥 일본말과 일본글을 쓰면서 ‘일본사람 시늉’으로 살아야 한다고 여겼다지요. ‘내선(內鮮) + 문독(間牘)’이란 ‘일본을 섬기는 조선 + 글월쓰기 물음’으로 풀이할 만한데, 조선사람도 일본사람하고 똑같이 글월을 쓰는 매무새를 다스리는 ‘문화시민’이 될 수 있다는 줄거리입니다. ‘윗사람·벼슬아치(공무원)’한테 글월을 올릴 적에 이렇게 쓰면 된다고 알립니다. 적잖은 글바치는 중국글로 중국바라기를 하다가, 일본글로 일본바라기를 했습니다. 2000년을 훌쩍 넘어선 이즈음은 우리 스스로 어떤 말빛과 글결을 세우고 펴는 하루일까요?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