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시 모드 몽고메리 리틀 피플 빅 드림즈 19
마리아 이사벨 산체스 베가라 지음, 아누스카 알레푸즈 그림, 박소연 옮김 / 달리 / 2021년 3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5.4.

그림책시렁 1578


《리틀 피플 빅 드림즈 19 루시 모드 몽고메리》

 마리아 이사벨 산체스 베가라 글

 아누스카 알레푸즈 그림

 박소연 옮김

 달리

 2021.3.15.



  모든 말은 우리 마음입니다. 모든 글은 우리 길입니다. 말을 하면서 마음을 나누고, 글을 쓰면서 길을 걷습니다. 말을 마음껏 할 수 없는 곳이라면 그야말로 갑갑해서 숨이 막혀요. 글을 거리끼지 않고서 쓸 수 없는 나라라면 참으로 답답해서 숨을 못 쉽니다. 《리틀 피플 빅 드림즈 19 루시 모드 몽고메리》는 아주 단출하게 글순이 한 사람 삶길을 들려줍니다. 이렇게 간추려서 보여줄 수 있구나 싶어 놀랍기도 하고, 어린이한테는 거의 노래(시)와 같이 굵고 짧게 들려주는 몇 마디로 글눈과 말눈과 생각눈과 마음눈을 틔울 만하다고도 느낍니다. 자, 이제 헤아려 볼까요? ‘모든 사내’가 마음껏 글을 쓸 수 있지는 않았습니다. 가난하거나 흙을 짓는 수수한 사내는 다른 수수한 가시내하고 똑같이 붓은커녕 종이조차 만질 일이 없었습니다. ‘글을 쓸 수 있던 사내’도 알고 보면 한 줌밖에 안 되는데, ‘글돌이’는 무슨 글을 남겼을까요? 아름글을 남긴 사내도 있으나, 어쩐지 벼슬이나 돈이나 이름에 사로잡힌 글돌이가 무척 많아요. 루시 모드 몽고메리 님은 붓을 쥐기까지 쉽잖은 나날을 걸어야 했으나, 오히려 이 모든 가시밭과 굴레가 ‘글을 쓰는 밑거름’이 되어서 《앤》이라고 하는 새길을 낳았어요. 다시 말해서, 사내들은 집안일과 아이돌보기를 맡아야 ‘글쓰는 사람’으로 제대로 설 수 있다는 뜻입니다.


ㅍㄹㄴ


《루시 모드 몽고메리》(마리아 이사벨 산체스 베가라/박소연 옮김, 달리, 2021)


루시가 사랑스러운 행동을 해도 미소조차 짓지 않았어요

→ 루시가 사랑스럽게 굴어도 웃지 않았어요

→ 루시가 사랑스럽게 놀아도 안 웃었어요

6쪽


그 시간이 루시에게는 위안이 되었어요

→ 그동안 루시는 마음을 달래요

→ 루시는 그때 마음을 다독여요

8쪽


읽고 쓰는 일은 시간낭비라 여기셨죠

→ 읽고 쓰기는 부질없다고 여기셨죠

→ 읽고 쓴들 쓸데없다고 여기셨죠

→ 읽고 쓰는 일이 아깝다고 여기셨죠

10쪽


글쓰기를 허락받지 못했던 어린 루시는 앤의 이야기를 통해 그토록 바라던 멋진 작가가 되었답니다

→ 글쓰기가 막힌 어린 루시는 앤 이야기를 그려서 그토록 바라던 글님이 멋지게 되었답니다

→ 글을 쓸 수 없던 어린 루시는 앤 이야기를 지어서 그토록 바라던 글지기가 되었답니다

28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