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물음


 나의 물음을 정리하면 → 내가 물은 말이라면

 엄마의 물음에 답을 못 했다 → 엄마가 물어도 말을 못 했다

 친구의 물음에 입을 다물더니 → 동무가 묻자 입을 다물더니


  ‘-의 + 물음’ 얼거리는 옮김말씨하고 일본말씨가 섞였다고 할 만합니다. 그냥 얄궂습니다. ‘-이·-가 + 묻다·물어보다’로 바로잡습니다. “할머니의 물음에”라면 “할머니가 묻자”로 바로잡는데, “할머니 말에”나 “할머니 얘기에”로 바로잡아도 어울려요. ㅍㄹㄴ


할아버지의 물음에

→ 할아버지가 묻자

→ 할아버지가 물으니

→ 할아버지 말에

《가출할 거야!》(야마구치 사토시/김정화 옮김, 크레용하우스, 2009) 75쪽


놀잇감으로는 무엇이 적당한지 엄마의 물음에 답하면서

→ 놀잇감으로는 무엇이 나은지 엄마가 묻자 대꾸하면서

《엄마는 숲해설가》(장세이·장수영, 목수책방, 2016) 46쪽


행복과 정치의 물음에 답을 준 사람은 언니였다

→ 즐겁게 다스리는 길을 알려준 사람은 언니이다

→ 즐겁게 일구는 길을 언니가 알려주었다

《정치의 의무》(이정미, 북노마드, 2019) 2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