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사회질서·사회환경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 나라를 지키려는 / 틀을 버티려는

 사회질서를 확립한다는 명분으로 → 온나라를 세운다는 이름으로

 청소년에게 유해한 사회환경을 개선한다 → 푸름이한테 나쁜 삶터를 고친다

 불합리한 사회환경을 타파한다 → 옳지 않은 터전을 허문다


사회질서(社會秩序) : [사회 일반] 사회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와 집단이 조화롭게 균형을 이룬 상태

사회환경 : x

사회(社會) : 1. 같은 무리끼리 모여 이루는 집단 2. 학생이나 군인, 죄수 들이 자기가 속한 영역 이외의 영역을 이르는 말 3. [사회 일반]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모든 형태의 인간 집단

환경(環境) : 1. 생물에게 직접·간접으로 영향을 주는 자연적 조건이나 사회적 상황 2. 생활하는 주위의 상태



  일본에서 들어온 말씨인 ‘사회질서·사회환경’일 텐데, 우리는 우리 나름대로 풀어내어 ‘삶·살림·살다·살아가다’나 ‘살림자락·살림자리·살림터·삶자락·삶자리·삶터’나 ‘삶틀’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람·사람들·사람누리·사람터·사람살이·사람살림·사람사이’로 손볼 수 있어요. ‘온곳·온나라·온누리·온땅·온터’나 “이 땅·이 나라”나 ‘마을·둘레·나라’로 손볼 만하고, ‘자리·터·판·마당·뜰·곳·곳곳·땅’이나 ‘떼·무리·바다·더미·덩어리’로 손보면 돼요. ‘지음터·지음자리’나 ‘고루·널리·두루·바깥·밭·바닥’이나 ‘다·모두·모둠·모둠살이·모임’로 손보아도 어울리고, ‘같이·함께·더불어·다같이·다함께’나 ‘환하다·활짝·열린·열다’으로 손보아도 됩니다. ㅍㄹㄴ



일본의 사회질서 속에서 재일조선인은 여전히 치안의 대상이다

→ 일본이라는 나라에서 일본한겨레는 늘 틀어막혀야 했다

→ 일본이라는 틀에서 일본한겨레는 그대로 묶여야 했다

《재일의 틈새에서》(김시종/윤여일 옮김, 돌베개, 2017) 69쪽


경쟁과 탐욕을 부추기는 사회 환경 때문이지요

→ 겨루고 노리라 부추기는 삶터 때문이지요

→ 다툼에 군침질을 부추기는 터전 때문이지요

→ 싸우고 집어삼키라 부추기는 나라 때문이지요

《10대와 통하는 농사 이야기》(곽선미와 다섯 사람, 철수와영희, 2017) 11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