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냉전의 벽 - 평화로운 일상을 가로막는 냉전의 유산
김려실 외 지음 / 호밀밭 / 2023년 6월
평점 :
까칠읽기 .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5.4.5.
인문책시렁 413
《냉전의 벽》
김려실과 일곱 사람
호밀밭
2023.6.25.
여덟 사람이 다르지만 하나인 목소리를 낸 《냉전의 벽》을 읽었습니다. 이 나라 이 땅이 아직 얼마나 차디차게 얼어붙은 담벼락인지 짚는 줄거리입니다. 첫머리를 인천 이야기로 여는데, ‘자유공원·인천상륙작전·맥아더·월미도’를 하나로 묶어서 짚습니다.
인천이 아닌 부산에서 이렇게 짚는 목소리를 들으니 낯설면서 새롭습니다. 이 네 가지를 하나로 묶는 이야기를 인천 바깥에서는 아예 들을 수 없다시피 하거든요. 다만 조금 더 “사람들 곁으로” 스미려고 했다면 ‘얼음담’을 훨씬 낱낱이 부드러이 풀어냈을 텐데 싶더군요.
‘그들(권력자)’끼리 쓰고 맺은 발자취가 아닌, ‘우리(사람들)’가 어떻게 살림을 지으면서 마을을 이루고 어깨동무를 하는 터전을 사랑해 왔는지 알아보려면, 말 그대로 “사람들 곁으로” 스밀 노릇입니다. ‘송학동·월미도’ 같은 이름으로 그치기보다는, 스스럼없이 마실해 보았다면 달랐을 텐데요. 송학동 1가와 2가와 3가를 벼슬자리(시청·구청·동사무소)에서 가르기는 하지만, 가만히 보면 그저 골목이자 마을입니다. 송학동 곁에 있는 관동과 송월동과 만석동과 화수동과 화평동과 송현동 모두 그저 사람골목이자 사람마을이요, 곳곳에 텃밭과 쪽마당과 나무가 그윽하면서 크고작은 새가 넘실넘실합니다.
나라지기 아닌 우두머리는 이 땅을 ‘겨울담’으로 틀어막으려고 했습니다. 우리는 멋도 모르고 나라가 시키는 대로 ‘싸움노래(전쟁가요·군가)’를 고무줄놀이뿐 아니라 모든 골목놀이를 하면서 그냥 부르면서 자랐어요. 순이가 고무줄놀이를 하면서 부르기만 하지 않았어요. 돌이도 구슬치기나 딱지치기나 갖은 놀이를 하면서 함께 불렀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학술연구·학술논문’으로 뜻깊은 글감을 잡아서 되도록 쉽게 풀려고 애쓴 책이라고 느끼되, 왜 쉽게 풀려고 애썼나 싶어서 아쉽습니다. “쉽게 풀려고 애쓰기”보다는, 그저 “사람들 곁에서 나란한 사람으로 서서 살림하는 사람으로 있으”면 저절로 삶말·살림말·마을말·골목말로 모든 겨울나라를 녹일 새 줄거리와 이야기를 펼쳤을 텐데 싶더군요. 줄거리를 고갱이로 이끌려는가 싶다가도 자꾸 ‘학술’이라는 걸림돌에 붙들리면서 넘어가지 못 해서 여러모로 아쉽기까지 합니다. 또한 ‘외톨이(전쟁고아)’를 나라(이승만·박정희·전두환 + 박근혜·문재인·윤석열에 이르기까지 아직도)에서 어떻게 아기장사를 하면서 괴롭혔는가 하는 대목은 한 줄로도 못 짚습니다.
ㅍㄹㄴ
인천시 중구 송학동에는 ‘자유공원’이라는 한국 최초의 서구식 공원이 있다. 1883년에 제물포항이 개항하고 1년 뒤 조선 정부와 미·영·청·독·일의 외교관들이 서명한 인천제몰포각국조계장정의 첫 항에 따라 1888년에 조성된 공원이다. (17쪽)
그렇다면 9월 10일은 무슨 날일까? 인천 상륙 작전의 공식 기억에서 완전히 사라진 그날, 월미도에서는 적이 아니라 강력한 우방 미군이 투하한 네이팜탄 폭격으로 줌니 100여 명이 사망하고 온 마을과 숲이 불에 탔다. 북한군이 월미산 정상에서 상륙 부대의 움직임을 간파할 수도 있다고 예상한 맥아더 사령부가 그 섬을 초토화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30쪽)
이처럼 위기 상황에서 무질서로 일관하는 사람들의 모습은 무능하고 무기력해 보인다. 그렇다면 이 혼란 정국 수십의 힘은 누구에게 있을까. 그것은 과학자와 군인이다. (52쪽)
기억의 재생산은 주로 전투(군인) 위주의 연구 혹은 콘텐츠 제작에 쏠려 있지 않았던가? (81쪽)
+
《냉전의 벽》(김려실과 일곱 사람, 호밀밭, 2023)
우리나라가 정상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은 언제였을까
→ 우리나라가 멀쩡하지 않은 줄 언제 알았을까
→ 우리나라가 똑바르지 않은 줄 언제 알았을까
7쪽
편집자에게 필진을 대표하여 심심한 감사를 드린다
→ 지은이는 모두 엮은이한테 고맙다고 절을 올린다
→ 글쓴 모두는 엮은이한테 고맙다는 말씀을 여쭌다
13쪽
함께 참전한 아들이 전사해 참척의 고통을 당한
→ 함께 싸운 아들이 죽는 바람에 괴로운
→ 함께 나간 아들이 일찍 죽으며 쓰라린
27쪽
투하되는 순간 주변의 모든 생명체를 죽음으로 몰아넣고
→ 떨구면 둘레 모든 숨붙이를 죽이고
→ 떨어지면 둘레 모든 숨결이 떼죽음이고
35쪽
이처럼 냉전 시대가 갈음한 피아(彼我)의 정체와
→ 이처럼 얼음나라가 갈음한 너나라는 모습과
41쪽
한국의 정치적 특성만으로 세계적 데당트 분위기를 막을 수는 없었다
→ 우리나라 흐름만으로 온누리 온누리 어깨동무를 막을 수는 없었다
→ 우리 나랏일만으로 얼음이 녹는 온누리를 막을 수는 없었다
54쪽
전쟁은 인간에게 가장 참혹한 고통을 주는 폭력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 싸움은 사람한테 가장 끔찍한 막짓일 뿐이다
→ 싸움은 사람을 가장 사납게 괴롭히는 짓이다
69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