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정시 定時
정시 뉴스 → 제날 이야기
정시 출발 → 제때 감 / 맞게 떠남
정시에 출발하다 → 알맞게 가다 / 제날짜에 가다
정시에 들어오면 → 좋게 들어오면 / 딱 들어오면
‘정시(定時)’는 “일정한 시간 또는 시기”를 가리킨다지요. ‘제때·제대로·제날·제날짜’로 손봅니다. “늦지 않다·안 늦다”나 ‘맞다·알맞다·걸맞다·들어맞다’로 손볼 만하고, ‘딱·좋다’로 손보아도 됩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정시’를 열 가지 더 싣는데 싹 털어냅니다. ㅍㄹㄴ
정시(丁時) : [민속] 이십사시(二十四時)의 열넷째 시 ≒ 정
정시(正始) : 올바르게 시작함. 또는 올바른 시작
정시(正視) : 1. 똑바로 봄 = 정안 2. [의학] 시력을 조절하지 아니하여도 평행 광선이 망막 위에 상(像)을 맺는 눈 = 정시안
정시(呈示) : 1. 내어 보임 2. [경제] 어음, 수표, 증권 따위의 소지자가 인수나 지급을 요구하기 위하여 인수인 또는 지급인에게 제출하여 보임
정시(廷試) : [역사] 중국의 과거 제도에서, 천자가 성시(省試) 급제자를 궁정에 불러 친히 고시를 보이던 일
정시(定示) : 대어 보임
정시(庭試) : [역사] 조선 시대에,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대궐 안에서 보이던 과거
정시(情詩) : 연애의 마음을 읊은 시가
정시(淨施) : [불교] 자비심으로 남에게 재물이나 불법을 베풂 = 보시
정시(鄭蓍) : [인명] 조선 순조 때의 무신(1768∼1811)
정시모집이 더 유리할 것이므로
→ 제날받기가 더 나으므로
→ 제날짜가 더 나으므로
《입학사정관제의 비밀 50》(하영목, 아이비하우스, 2009) 190쪽
정시에 시작하고 정시에 끝나도록 한다
→ 제때에 열고 제때에 끝나도록 한다
→ 알맞게 열고 알맞게 끝나도록 한다
《책에게 말을 걸다》(오정화, 북포스, 2011) 256쪽
그래, 정시에 마치고 왔으니까
→ 그래, 제때에 마치고 왔으니까
→ 그래, 알맞게 마치고 왔으니까
《이 세상의 한 구석에 上》(코노 후미요/강동욱 옮김, 미우, 2017) 109쪽
오랜만에 정시퇴근이다
→ 오랜만에 제때 간다
→ 오랜만에 딱 마친다
《마치다 군의 세계 3》(안도 유키/한나리 옮김, 대원씨아이, 2017) 102쪽
나였으면 정시에 딱 끝낼걸
→ 나라면 딱 끝낼걸
→ 나라면 안 늦게 끝낼걸
《이 세상은 싸울 가치가 있다 1》(코다마 하츠미/김수연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5) 1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