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751 : -ㄴ 인사를 나눈다
눈을 맞춰 가벼운 인사를 나눈다
→ 눈을 가볍게 맞춘다
→ 눈을 가볍게 찡긋한다
《살림문학》(김대성·강경주와 12사람, 곳간, 2024) 45쪽
마주 절을 하기에 한자말로 ‘인사’라 하니, 이 한자말을 쓰려면 “인사를 하다”라 해야 맞습니다. “인사를 나누다”는 틀린말씨입니다. 그런데 보기글을 살피면 “눈을 맞춰”로 첫머리를 열어요. 이미 “눈을 맞추”는 ‘눈절’을 했다고 밝힌 만큼 ‘인사’는 겹말이자 군더더기입니다. 이때에는 “눈을 가볍게 맞춘다”로 손질할 만합니다. ㅍㄹㄴ
인사(人事) : 1. 마주 대하거나 헤어질 때에 예를 표함. 또는 그런 말이나 행동 2. 처음 만나는 사람끼리 서로 이름을 통하여 자기를 소개함. 또는 그런 말이나 행동 3. 입은 은혜를 갚거나 치하할 일 따위에 대하여 예의를 차림. 또는 그런 말이나 행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