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he Ugly Duckling (Hardcover)
Andersen, Hans Christian / Candlewick Pr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4.2.
그림책시렁 1328
《the Ugly Duckling》
Hans Christian Andersen 글
Steve Johnson·Lou Fancher 그림
Candlewick
2008.
못생긴 아기나 미운 아이란 없다고 봅니다. 모든 아기는 그저 아기요, 모든 아이는 언제나 아이입니다. 그런데 우리말에나 이웃말에 ‘못생기다(Ugly)’라든지 ‘밉다(hate)’가 있어요. 사랑으로 품는 길이 아닌, 처음부터 꺼리거나 내치거나 밀어대거나 멀리하는 몸짓입니다. 마음을 읽지 않고서 겉모습으로 따지거나 재려는 틀입니다. 《the Ugly Duckling》 이야기를 어릴적부터 거북하게 느꼈으나, 거북하더라도 받아들일 수밖에 없더군요. 아기도 아이도 그저 다 다르면서 나란한 숨빛이지만, 둘레(사회)에서는 이렇게 안 보거든요. 더욱이 한집에서도 ‘착한아이’하고 ‘미운아이’를 갈라서 바라보는 어버이와 언니가 있습니다. 마을과 배움터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안데르센 님이 남긴 이야기를 오래오래 곱씹습니다. ‘사람이라는 옷’을 입으면 모두 속눈 아닌 겉눈에 얽매인다는 뜻을 펴는 셈이라기보다는, ‘사람이라는 빛’을 잊은 채 서로 사랑까지 잊고 마는 굴레이니, 이런 굴레살이에서 누구보다 우리 스스로 “남이 나를 못생겼다고 여기든, 나무라든, 손가락질을 하든, 밀쳐대든, 이 모두를 똑같이 미운말로 되치지 않는 사랑길을 찾을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남이 사랑이 아니라서 내가 사랑이 아니어야 하지 않아요.
#미운새끼오리
#theUglyDuckling #한스크리스티안안데르센 #SteveJohnson #LouFancher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