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명성 名聲


 명성을 날리다 → 이름을 날리다

 명성을 떨치다 → 이름꽃을 떨치다

 명성을 얻다 → 팔띠를 얻다 / 이름띠를 얻다

 명성이 높다 → 이름값이 높다

 청빈함으로 명성이 자자하다 → 깨끗하여 널리 빛나다


  ‘명성(名聲)’은 “세상에 널리 퍼져 평판 높은 이름 ≒ 성명·성문·성칭·홍명”을 가리킨다는군요. 낱말책에 비슷한말로 실은 다른 한자말은 하나도 쓸 일이 없으니 다 털어낼 노릇입니다. 이러구러 ‘이름·이름길·이름값’이나 ‘이름꽃·이름빛·이름높다’나 ‘이름씨·이름힘·이름띠’로 손봅니다. ‘팔띠·어깨띠·아름낯’으로 손보고, ‘고운낯·고운얼굴·꽃낯·꽃얼굴’로 손볼 만합니다. ‘높다·높다랗다·높직하다’나 ‘높끝·높꽃·높은끝·높은꽃’이나 ‘빛나다·빛눈·빛눈길’로 손보아도 어울려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명성’을 둘 더 싣는데 모두 털어냅니다. 샛별은 그저 ‘샛별’입니다. ㅍㄹㄴ



명성(明星) : ‘금성’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 샛별

명성(明聖) : 총명하고 덕이 높음. 임금의 지덕(知德)을 형용하는 말이다



정직하고 성실한 일꾼이라는 명성을 얻고 있으며 모범 시민으로 인식되고 있다

→ 바르고 듬직한 일꾼이라는 이름을 얻으며 참하다고 여긴다

→ 곧고 믿음직한 일꾼이라는 이름을 얻으며 반듯하다고 여긴다

《미래는 핀란드에 있다》(리처드 D. 루이스/박미준 옮김, 살림, 2008) 298쪽


일약 세계적 명성을 얻은 반면

→ 한달음에 온이름을 얻으나

→ 하루아침에 온이름을 얻지만

《과학은 반역이다》(프리먼 다이슨/김학영 옮김, 반니, 2015) 246쪽


명성이 자자한 번역가를 한 분

→ 이름높은 글옮김이를 한 분

→ 이름난 옮김님을 한 분

→ 드날리는 옮김빛을 한 분

→ 오르내리는 옮김일꾼을 한 분

《고양이의 서재》(장샤오위안/이정민 옮김, 유유, 2015) 64쪽


고품질로 명성이 자자한

→ 훌륭하기로 이름높은

→ 드높이 빛나는

→ 뛰어나기로 이름난

《세계를 읽다, 독일》(리처드 로드/박선주 옮김, 가지, 2016) 238쪽


생애 마지막 무렵에 명성을 얻었다

→ 삶 마지막 무렵에 이름을 얻었다

→ 늘그막에 이름을 얻었다

《글쓰는 여자의 공간》(타니아 슐리/남기철 옮김, 이봄, 2016) 54쪽


명성은 순식간에 쏟아지듯 밀려왔다

→ 이름값은 확 생겼다

→ 이름은 갑자기 치솟았다

《서평의 언어》(메리케이 윌머스/송섬별 옮김, 돌베개, 2022) 385쪽


이러한 잗다란 하자 탓에 저자의 필력과 문학적 명성에 금이 가는 일은 일어나지 않으며 감히 말하건대 일어나서도 안 된다

→ 이러한 잗다란 흉 탓에 글쓴이 붓힘과 붓빛이 금이 가지 않으며 금이 갈 까닭도 없다

→ 이 잗다란 티끌 탓에 지은이 글힘과 붓빛이 금이 가지 않으며 금이 갈 까닭도 없다

《우리말 기본기 다지기》(오경철, 교유서가, 2024) 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