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737 : 존재의 내적 본성 -에의 의지 원하 -ㅁ 불합리 질문 주장 존재 것 자체 -에의 의지


“존재의 가장 내적 본성이 힘에의 의지”이기에 “누가 힘을 원하는가?”라는 물음은 “불합리한 질문”이라고 주장한다. “존재하는 것 자체가 힘에의 의지”이기 때문이다

→ “살아가자면 힘에 기대”기에 “누가 힘을 바라는가?” 하고 물으면 “옳지 않다”고 대꾸한다. “삶이란 힘이 바탕”이기 때문이다

→ “살려면 힘이 있어야 하”기에 “누가 힘을 비는가?” 하고 물으면 “알맞지 않다”고 말한다. “살며 힘을 쓰”기 때문이다

《니체 읽기의 혁명》(손석춘, 철수와영희, 2024) 115쪽


우리가 우리말로 생각을 한다면, 독일말로도 영어로도 중국말로도 일본말로도 들씌운 글자락이 아니라, 그저 우리말로 마음을 밝히고 나눕니다. 꺼풀을 씌운 말씨는 아직 껍데기라서 딱딱합니다. 속에 깃든 힘을 기댈 까닭이 없이, 속에서 솟는 빛을 헤아릴 적에, 속에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게 마련입니다. 누가 무슨 힘을 바랄까요? 무엇이 옳거나 안 옳을까요? 여기에 있는 삶입니다. 여기에서 살며 힘을 쓰고, 빛을 내며, 눈을 뜨고 마음을 열어 사랑을 심습니다. ㅍㄹㄴ


존재(存在) : 1. 현실에 실제로 있음 2. 다른 사람의 주목을 끌 만한 두드러진 품위나 처지 3. [철학] 의식으로부터 독립하여 외계(外界)에 객관적으로 실재함 ≒ 자인 4. [철학] 형이상학적 의미로, 현상 변화의 기반이 되는 근원적인 실재 5. [철학] 변증법적 유물론에서, 객관적인 물질의 세계. 실재보다 추상적이고 넓은 개념이다

내적(內的) : 1. 내부적인 2. 정신이나 마음의 작용에 관한

본성(本性) : 1. 사람이 본디부터 가진 성질 ≒ 체성 2. 사물이나 현상에 본디부터 있는 고유한 특성 ≒ 성진·실성·체성

의지(依支) : 1. 다른 것에 몸을 기댐 2. 다른 것에 마음을 기대어 도움을 받음

원하다(願-) : 무엇을 바라거나 하고자 하다

불합리(不合理) : 이론이나 이치에 합당하지 아니함

질문(質問) : 모르거나 의심나는 점을 물음

주장(主張) : 1. 자기의 의견이나 주의를 굳게 내세움. 또는 그런 의견이나 주의 2. = 주재(主宰)

자체(自體) : 1. (다른 명사나 ‘그’ 뒤에 쓰여) 바로 그 본래의 바탕 2. (주로 명사 앞에 쓰이거나 ‘자체의’ 꼴로 쓰여) 다른 것을 제외한 사물 본래의 몸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