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벌레의 하극상 제2부 : 책을 위해서라면 무녀가 되겠어 10
스즈카 지음, 시이나 유우 그림, 카즈키 미야 원작 / 대원씨아이(만화)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3.8.

책으로 삶읽기 1005


《책벌레의 하극상 2-10》

 카즈키 미야 글

 스즈카 그림

 문기업 옮김

 대원씨아이

 2025.2.28.



《책벌레의 하극상 2부 10》(카즈키 미야·스즈카/문기업 옮김, 대원씨아이, 2025)을 돌아본다. 이미 글로 나온 줄거리를 모조리 그림으로 옮기려 하다 보니 앞뒤가 엉킨다든지 군더더기 같은 대목이 자주 나온다. 글판을 그림판으로 옮길 적에는 굳이 모든 줄거리를 안 살려도 될 텐데, 그저 끝없이 가지를 친다고 느낀다. 사람살이에 끝이 없기에 그림꽃도 끝이 안 나는 얼거리로 그릴 수 있다. 그런데 이제는 ‘왜 책벌레 뒤엎기’라는 이름인지 까맣게 잊어버린 듯싶다. 책벌레가 어느 다른누리에서 새몸을 입고서 태어나서 살아가는 까닭이 무엇인지, 다른누리에서는 어떤 책살림을 펴려고 하는지, 다른누리와 옛누리 사이를 잇는 실이 무엇인지 모두 잊었다고 할까. 종이에 얹어서 묶는 책이 있되, 종이도 붓도 없이 마음에 새기는 책이 있다. 아주 오랜 옛날 옛적부터 사람들은 마음에 새기는 이야기를 물려주고 물려받으면서 즐겁게 살림을 지었다. 풀꽃나무와 돌과 바람과 물방울도 언제나 마음빛에 이야기를 새기면서 어울린다. ‘책’이란 무엇인지 잊은 채 줄거리만 잔뜩 늘어뜨리는 얼거리라면, 《책벌레의 하극상》은 이미 재미도 뜻도 잃어버린 채 장사만 하는 셈이리라. 아니, 이미 ‘책벌레’ 이야기가 아닌 ‘장사하는’ 이야기로 넘어온 지 오래이기도 하다.


ㅍㄹㄴ


“오히려 가장 피해가 컸던 분은 마인 님이에요. 무모하게 행동하신 거죠?” “신관장님이 설교를 하겠대요.” (88쪽)


“다음으로 역사가 바뀐다는 점에 관해 묻고 싶다. 인쇄가 시작되면 지금까지 사람의 손으로 직접 옮겨적은 책은 어떻게 되지?” “필사본 말인가요?” (138쪽)


“책이 보급되면서 사회는 어떻게 변했지?” “사회 정세나 식자율에 따라서 다르지만 바뀐 일이 많아요. 민중이 정보를 공유해 지식을 얻어 지배층을 타도하거나, 반대로 자신에게 유리한 정보를 인쇄한 종이를 뿌려 민중을 선동하거나.” “영향이 너무 거대해서 어떤 식으로 사태가 전개될지 알 수 없는 건가.” (139쪽)


+


숙박하는 곳으로 가려고 보니

→ 묵는 곳으로 가려고 보니

→ 머물 곳으로 가려고 보니

29


무모하게 행동하신 거죠?

→ 함부로 구셨죠?

→ 마구 달리셨죠?

88


민중이 정보를 공유해 지식을 얻어 지배층을 타도하거나

→ 사람들이 서로 알려주고 배워서 우두머리를 내쫓거나

→ 사람들이 서로 가르치고 배워서 꼭두머리를 허물거나

139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