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5.3.6.
오늘말. 귀퉁이
내치려고 하면서 누구를 가장자리로 밀어냅니다. 따돌리려고 하기에 누구를 구석자리로 몰아냅니다. 끝자락이란 그저 끄트머리일는지 모르나, 둥그렇게 돌아가는 푸른별을 헤아린다면 어느 곳도 귀퉁이가 아닙니다. 모든 곳은 얼핏 가녘이나 귀 같으나, 다 다르게 가운데요 복판입니다. 서울 바깥이라서 허전하거나 힘이 없지 않습니다. 서울하고 멀기에 외지지 않아요. 여러모로 보면, 서울이란 숲하고 너무 먼 꼬마나라입니다. 서울곁이란 들숲을 등지거나 잊은 구석빼기입니다. 오히려 시골이 푸르게 빛나는 한복판이고, 서울이란 마치 가두리처럼 매캐하고 시끄러운 가생이 같습니다. 오늘날은 시골 어린이나 푸름이가 하루빨리 서울 언저리에라도 가야 한다고 등을 떠미는 얼거리입니다. 조그마한 시골 보금자리에서 나고자란 아이들이 자그마한 살림집에서 밭을 일구면서 들숲메를 품는 길을 하나도 안 북돋우는 판입니다. 들빛이 푸르게 일렁이는 들판자리란 후미진 데가 아닌, 후더분히 여름바람이 불면서 열매가 무르익는 알뜰살뜰 밭터입니다. 바깥쪽이 아닌 열매밭에 나물밭에 살림밭입니다. 서울 기스락이 아닌 멧숲 기스락으로 깃들 이웃을 기다립니다.
ㅍㄹㄴ
가두리·가장자리·가녘·가생이·구석·구석빼기·구석자리·구석지다·귀·귀퉁이·기슭·기스락·깃 ·깃새·꼬마·꼬마둥이·꼬맹이·꼬마나라·꼬마누리·끄트머리·끝자리·끝자락·작다·조그맣다·작은곳·작은나라·작은누리·작은물·작은자리·둘레·둘레고을·둘레고장·둘레마을·들자리·들녘자리·들판자리·모퉁이·모랭이·여린나라·여린누리·바깥·밖·바깥자리·바깥쪽·바깥터·밭자리·밭쪽·밭터·서울곁·서울 둘레·서울 언저리·시골·시울·언저리·외지다·후미지다 ← 변방(邊方), 변방국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