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675 : 전날 -의 행복 기대감 전쟁 낳 기아의 현장 목도


전날 밤의 온갖 행복한 기대감은 사라지고, 전쟁이 낳은 기아의 현장을 목도하고 있었다

→ 지난밤에 즐겁게 그리던 꿈은 사라지고, 불바다 탓에 굶주리는 삶을 바라보았다

→ 간밤에 푸르게 그리던 마음은 사라지고, 불더미에서 배곯는 모습을 마주하였다

《뱅뱅클럽》(그레그 마리노비치·주앙 실바/김성민 옮김, 월간사진, 2013) 170쪽


지난밤과 오늘은 다릅니다. 간밤에 슬프거나 외로웠어도 새로 맞는 아침은 다를 만합니다. 어젯밤에는 잔뜩 부풀고 즐겁고 꿈을 그렸다지만, 막상 새벽이 지나면서 으스스한 맨모습을 바라보아야 할 수 있습니다. 불바다로 이글이글 타버리는 곳에는 가난하고 굶주리는 이웃과 아이들이 있어요. 불더미에서는 뭘 심어서 가꾸지 못 합니다. 누가 싸우라고 시키는가요. 무엇 때문에 싸워야 하는가요. 서로 나누면서 함께 살아갈 길을 헤아려야 비로소 사람일 텐데. ㅍㄹㄴ


전날(前-) : 1. 일정한 날을 기준으로 한 바로 앞 날 ≒ 선시·전일 2. 이전의 어느 날. 또는 얼마 전 ≒ 선시·앞날

행복(幸福) : 1. 복된 좋은 운수 2.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흐뭇한 상태

기대(期待) : 어떤 일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기다림

-감(感) : ‘느낌’의 뜻을 나타내는 접미사

전쟁(戰爭) : 1. 국가와 국가, 또는 교전(交戰) 단체 사이에 무력을 사용하여 싸움 ≒ 군려·병과·병혁·전역·전화 2. 극심한 경쟁이나 혼란 또는 어떤 문제에 대한 아주 적극적인 대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기아(飢餓/饑餓) : 먹을 것이 없어 배를 곯는 것 = 굶주림

현장(現場) : 1. 사물이 현재 있는 곳 ≒ 실지·현지 2. 일이 생긴 그 자리 3. 일을 실제 진행하거나 작업하는 그곳

목도(目睹) : = 목격(目擊)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