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기다림의
오늘도 기다림의 하루 → 오늘도 기다리는 하루 / 오늘도 기다린다
기다림의 끝은 언제인가 → 기다리는 끝은 언제인가 / 언제까지 기다리나
옮김말씨를 흉내낸 ‘기다림의’ 꼴입니다. 우리말씨로는 ‘기다리는’으로 바로잡습니다. 글결을 헤아려 ‘기다리다’로 손볼 만합니다. “기다림의 하루”나 “기다림의 연속” 같은 대목은 수수하게 “기다린다”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내년에는 좀더 많은 반디가 날아오겠지. 기다림의 시간은 더디다
→ 새해에는 반디가 좀더 많이 날아오겠지. 기다리는 하루는 더디다
→ 이듬해는 반디가 더 많이 날아오겠지. 기다리는 나날은 더디다
《지율 스님의 산막일지》(지율, 사계절, 2017) 186쪽
어쨌거나 기다림의 연속이야
→ 어쨌거나 늘 기다려
→ 어쨌거나 내내 기다려
→ 어쨌거나 기다리고 기다려
→ 어쨌거나 기다리는 나날이야
《히비키 2》(야나모토 미츠하루/김아미 옮김, 소미미디어, 2018) 139쪽
기다림의 시간은 마냥 두려움이었다
→ 기다리는 날은 마냥 두려웠다
→ 기다리는 동안 마냥 두려웠다
→ 기다릴 적에는 마냥 두려웠다
《책이 모인 모서리 여섯 책방 이야기》(소심한책방·손목서가·고스트북스·달팽이책방·유어마인드·동아서점 쓰고 펴냄, 2019) 32쪽
솜이불 한 채를 준비하는 것만이 기다림의 전부였대요
→ 솜이불 한 채를 마련하고 그저 기다렸대요
→ 솜이불 한 채를 장만하고 고이 기다렸대요
《선물》(김은미, 백화만발, 2020) 12쪽
기다림의 속도는 마지막에 빨라질까
→ 마지막에는 빨리 기다릴까
→ 마지막에는 얼른 기다릴까
→ 마지막에는 바로 기다릴까
《겨를의 미들》(황혜경, 문학과지성사, 2022) 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