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긍정회로
즉각 긍정회로를 발동하였다 → 바로 밝게 움직인다
금일부터 긍정회로로 사고하기로 한다 → 오늘부터 환하게 생각하기로 한다
항상 긍정회로인 인간이다 → 늘 웃는 놈이다
긍정회로 : x
긍정(肯定) : 1. 그러하다고 생각하여 옳다고 인정함 2. [철학] 일정한 판단에서 문제로 되어 있는 주어와 술어와의 관계를 그대로 인정하는 일. ‘S는 P이다.’라는 형태의 명제를 참이라고 승인하는 것이다
회로(回路) : 1. 어디를 갔다가 돌아오는 길 ≒ 반로 2. 생체 내에서 진행되는, 물질과 에너지의 교대 과정 중에서 화학 반응의 경로가 순환하는 부분 3. [전기·전자] 여러 개의 회로 소자를 서로 접속하여 구성한 전류가 흐르는 통로 = 전기 회로
언제부터인지 ‘긍정적’ 같은 ‘-적’붙이 말씨를 슬쩍 ‘-회로’로 바꾸는 ‘긍정회로·부정회로’ 같은 일본말씨가 번집니다. ‘긍정·긍정적·긍정회로’는 그냥 일본말이라고 할 만합니다. 우리는 우리말씨를 헤아리면서 ‘가만히·가볍다·서슴다·선뜻’이나 ‘그래·그럼·끄덕이다’나 ‘사랑·열다·틔우다’로 다듬습니다. ‘됐다!·아!·와!·우와!·이야!’나 ‘기꺼이·기쁘다·달갑다·반갑다’로 다듬을 만하고 ‘낫다·웃다·웃음·즐겁다·좋다’나 ‘껴안다·안다·안기다·품다’로 다듬어요. ‘꽃보라·꽃비·봄꽃비·단비·봄단비’나 ‘두손들다·손들다·마다하지 않다·마다않다·입을 벌리다’로 다듬지요. ‘맞다·맞아들이다·맞이하다·받다·받아들이다·받아주다’나 ‘밝다·빛·빛나다·빛꽃·빛다발·알다’로 다듬어도 어울립니다. ‘살아나다·잘되다·이바지’로 다듬을 만해요. ‘아무려나·아무렴·아하·암·음·응·네’나 ‘어울리다·오감하다·옳다’로 다듬고, ‘착착·척척·탁탁·톡톡’으로 다듬어요. ‘하다·해놓다·해두다·해주다’나 ‘하하·환하다·훤하다·활짝’으로 다듬을 수 있습니다. ㅍㄹㄴ
뭔가 방법이 생기겠지. 그렇게 애써 긍정회로를 돌렸다
→ 뭔가 길이 생기겠지. 그렇게 애써 밝게 여겼다
→ 뭔가 할 수 있겠지. 그렇게 애써 가볍게 여겼다
《엄마는 그림책을 좋아해》(이혜미, 톰캣, 2024) 157쪽